국내 한의학 학술지에 사용된 통계기법에 대한 고찰: 1999-2008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KCI Listed Journal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rom 1999 to 2008

  • 이용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 곽민정 (평택대학교 디지털응용정보학과) ;
  • 정해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 하현이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 채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Lee, Yong-Jae (Div.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ak, Min-Jung (Department of Digital Information and Statistics, Pyeongtaek University) ;
  • Jung, Hae-Ree (Div.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a, Hyun-Yee (Div.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ae, Han (Div.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6.08
  • 심사 : 2012.07.24
  • 발행 : 2012.08.31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use of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or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tudies listed on the Korea Citation Index from 1999 to 2008. Methods: A total of 4217 studies published on four journal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ere screened and 2682 articles using statistical methods were selected for the review.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ir published year, statistical method and statistical package for use. Results: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steadily in 64.6% of the articles after 2001, the most used statistical methods(57%) were mean difference comparison between 2 groups. The number of statistical methods mostly used in one article was identified as one in 1931 articles (72.0%). Duncan (36.8%) and Tukey (26.5%) were used for the ANOVA post hoc analysis. SPSS was most frequently used 68% out of Statistical package programs.(the number of mean difference comparison among more than 3 groups wa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at makes post hoc being used. skills of statistical methods need to be diversified.) Conclusion: The interest on the proper use of statistical analysis in the research is increasing.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vidence-based Teaching on research methodology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성규. 의학통계의 한의학적 응용에 관한 연구. 한방성인병학회지. 1999;5(1):262-270.
  2. 채한. 3일에 끝내는 한의학 논문 작성법. 부산:부산대학교 출판부. 2011.
  3. 최영웅. 의학연구논문에서 통계적 기법의 활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09;20(2):357-367. 재인용
  4. 이선규. 대한방사선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에 대한 통계학적 재검토:통계방법 및 통계량의 기술을 중심으로.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7:953-958.
  5. 안윤옥, 고웅린. 자료 처리과정에 대한 통계학적 검토. 예방의학회지. 1973;6(1):81-85.
  6. 하헌선.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에 대한 통계적 평가-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4.
  7. 현혜진. 보건학 관련 연구논문에 대한 통계기법 적용과 방법론 검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8. 이형기, 허봉렬, 안윤옥. 1980년대에 발표된 국내의학 연구논문의 방법론 및 통계처리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평가연구. 가정의학회지. 1991;12(6):46-67.
  9. 나호균, 의학논문에서 통계적 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2007.
  10. 최영웅. 의학연구논문에서의 통계적 기법의 활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09;20(20):357-367.
  11. 김대명. 의학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통계적기법에 대한 고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2010.
  12. 이승덕. 대한침구학회지 논문의 통계적 오류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21(1):176-188.
  13. 김대영. 한의학의 세계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대전대학교 무역통상대학원 석사학위. 2010.
  14. 학회자료. 한의학 연구의 세계화. 대구한의대학교 제한동의학술원. 2007.
  15. 엄석기. 전통한의학 연구방법론의 현대화에 대한 小考.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23(2):89-105.
  16. 이승덕. 침구학회지 논문에 응용된 통계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20(1):144-158.
  17. 고미미, 강병갑, 강경원, 박세욱, 김보영, 김정철 et al. 최근 3년간 발표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논문의 방법론 및 통계처리기법에 관한 보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1):189-193.
  18. 강경원, 강병갑, 고미미, 신선화, 최선미. 한국한의학 연구원 논문집에 사용된 통계기법의 평가. 한국한의학 연구원논문집. 2007;13(2):121-125.
  19. 박태용, 허태영, 신병철.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의 통계적 오류에 관한 고찰(I).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 20(4):105-130.
  20. 박태용, 허태영, 고연석, 문수정 이정한.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의 통계적 오류에 관한 고찰(II).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1):59-73.
  21. http://www.kci.go.kr/ (2011.12.26.).
  22.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목록 http://www.nrf.re.kr/html/kr/business/business_06_02_08_02_01_01_3465.html#a (2011.12.26).
  23. 이수진, 김명근, 채한. 사상체질 진단검사 타당성 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8;29(1):7-14.
  24. 황상문, 박소정, 강기림, 권영규, 채한. 사상체질 진단 검사 타당성 분석지표의 일반화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5):950-957.
  25. Park SH, Kim MG, Lee SJ, Kim JY, Chae, H. Temperament and character profiles of Sasang typology in an adult clinical sample. eCAM Advanced Access published April 20, doi:10.1093/ecam/nep034. 2009.
  26. 채한, 이수진, 박소정, 김병주, 홍진우, 황민우 et al. SCL-90-R을 사용한 사상체질별 심리정신 특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4):722-726.
  27. 이영준. 분산분석의 이해. 서울:도서출판 석정. 2000.
  28. 정미미. Two-way ANOVA 상호작용효과의 사후검증 방법 비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2005.
  29. 이승덕, 최윤정, 김갑성. 통계분석용 package software 비교고찰. 대한한의정보학회지. 1998;4(1):17-34.
  30. http://support.sas.com/documentation/onlinedoc/stat/#stat93 (2012.02.06).
  31. http://www.r-project.org/ (2012.02.06).
  32. http://www.physics.udel.edu/${\sim}$bnikolic/QTTG/shared/docs/SigmaPlotUser'sGuide.pdf (2012.02.06).
  33. http://www.graphpad.com/articles/AnalyzingData.pdf (2012.02.06).
  34. http://cloud.originlab.com/pdfs/Tutorials.pdf (2012.02.06).
  35. 윤미영, 이선경, 손경우, 이수진, 박수현, 양재원 et al. PANAS를 사용한 사상체질별 심리 특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2):345-351.
  36. 이형기. 1980년대에 발표된 국내 의학연구논문의 방법론 및 통계처리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평가 연구. 가정의. 1991;12(6):46-67.
  37. 이수진, 권영규, 황민우, 채한. 정신생리 및 사상생리 실험실습 교과개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 25(2):352-358.
  38. 이수진, 이용재, 김병주, 권영규, 채한. 한의학 입문과정에서의 소집단 찬반토론 개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2):326-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