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댄스게임 체험에 따른 신체적·정서적 무용교육효과

The Effect of Dance Educational of Physical and Emotional on Experience Dance Game

  • 투고 : 2012.05.23
  • 심사 : 2012.08.08
  • 발행 : 2012.08.20

초록

본 연구는 Xbox-360게임 "댄스센트럴"을 통해 댄스게임의 신체적 정서적 무용교육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에 질적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방법을 선정하여 댄스게임 무경험자이자 N세대에 속하는 성인 8인을 동일집단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는 2011년 7월 18일부터 8월 15일까지 5주 동안 총 15회 댄스게임 체험을 통해 관찰자료, 반구조화 면담, 자기보고서, 참여영상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선행된 리듬의 익숙함', '반복된 동작의 표현성 향상', '신체활동이 활발한 댄스게임'), 정서적('단계변화에 따른 자신감 형성과 몰입 변화', '스트레스 해소', '중독성 없는 댄스게임')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hysical, emotional effect on dance education by using "Dance Central" among Xbox-360 Games.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this study adopts case study methodology through Dance Central program among qualitativ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adults who do not have experienced dance games from a homogeneous group composed of persons into who are called the Net Generation.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July 18, 2011 to August 14, 2011, during which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5 weeks. In total, 15 times of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made. Dance game experience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articipatory Video, self-reports, un-Structured interview, Observ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effect of aspects physical, emotional and the of dance game was analyzed into dance educational aspect. Educational effect on physical aspect was divided into subjects of 'preceded rhythm and familiarity of dance moves', 'changes by type of moves' and 'dance game requiring active physical activities'. Emotional learning effect was divided into subjects including, 'alleviation of stress'. 'changes of fun by stage and concentration' and 'dance game which has no risk of addi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Salen, K. and Zimmerman, E.,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MIT Press, Massachusetts, pp.201-210, 2004.
  2. 김사훈, 교육을 위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확장적 정의와 범주화를 통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지, 12(1), p.5, 2012. https://doi.org/10.7583/JKGS.2012.12.1.3
  3. 박중길, 김현남, 영화로 읽는 무용교육 이야기, 한국체육학회지, 43(5), p.759, 2004.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2007, p.115
  5. 돈 탭스콧, 이진원 옮김, 디지털 네이티브(역사상 가장 똑똑한 세대가 움직이는 새로운 세상), 서울: 비즈니스북스, 2009.
  6. 오규환, 창의적이고 누구나 쉽게 플레이 가능한 게임 제작을 위한 팁, 한국게임학회지, 7(1), 2010, p.34.
  7. Kanner, L. Autistic disturbance of affective contact, p.108, 1943.
  8. 송슨근, 강대기, "3D Full Body Interation 게임의 동향 및 전망", 정보처리학회, 17(5), p.52, 재인용, 2010.
  9.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 시대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2003.
  10. Webb, P. Direct calorimetry and the energetics of exercise and weight loss, Med, Sci. Sport Exerc, 18(1), 3-5,1986.
  11. Burkirk,E.R, Some nutritonal consideration in the conditioning of thletes, Ann, Rev, Nutr., 1, 319-350, 1981. https://doi.org/10.1146/annurev.nu.01.070181.001535
  12.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rentice-Hall, 1986; 최상철, 게임기반 학습의 활용에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pp23-24, 2009, 재인용.
  13. Loehr, J. & Schwartz, T, The power of full engagement. NY: Free Press, 2003; 한지영, "방과후 교실 아동의 몰입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질적연구센터, 7(1), p.2, 2006, 재인용
  14.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Jersey: Prentice-Hall, 1986.
  15. 김은정, "체감형 게임에서 '체화된 경험'의 의미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3, p172, 2010.
  16. 이희선, 무용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고찰, 무용교육연구, 1995.
  17. 송수남, 창의적 무용움직임이 언어 인지 기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무용학회지, 2(2), pp.43-59, 1997.
  18. 백연옥, 무용 교육의 심리적인 효과에 대한 고찰, 무용학회논문집, 23, pp.221-242, 1998
  19. 황경숙, 초등무용교육의 철학적 가치, 한국체육철학회지, 12(2), 2004, pp.513-527.
  20. 한혜원,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신체상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3), pp.101-113, 2006.
  21. Adame D.D., Radell S. A,, Johnson T.C., & Cole S.P, Physical fitness, bady image, and locus of control in college women dancers and nondancers. Pereceptual & Motor Skills, 72(1), pp.91-95, 1991. https://doi.org/10.2466/pms.1991.72.1.91
  22. 배소심, 최경실 "몸의 현상학을 통한 춤예술의 존재론적 본성", 한국체육학회지, 44(6), p.1067, 2005.
  23. 이동연, 게임의 문화코드. 서울: 이매진, p.85, 2010.

피인용 문헌

  1. Analysis of Learning and Fun Elements Inherent in Dance Game vol.15, pp.1, 2015, https://doi.org/10.7583/JKGS.2015.15.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