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ess and Dietary Life of College Students in Daejeon Area(II)

대전지역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식생활관리 조사(II)

  • 하귀현 (우송정보대학 식품영양조리계열)
  • Received : 2012.06.07
  • Accepted : 2012.07.12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We have published a paper which is on stress and dietary life for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weight, height, BMI by the sex of them. It was on obesity index, stress durability and stress strength, meal intake by stress, stress reduction and stress relief for the sample students. In this paper, we monitored taste changing of their favorite food under stresses, feeling after food intake for stress relief, score of stress with life style, strength of stress correlated with characteristic and BMI. The students preferred hot and sweet taste on their stres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feeling their stress after taking food for stress relief by ages, major area and monthly expenses. The stress is more severe for them according to do not sleeping and health status. The stress is not affected by exercising, smoking, drinking alcohols, healthcare mind in their life. The impetuous students get more stress easily but the stress is not affected on BMI. As a result, we need to provide them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guide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dietary life style and practice of their life attitude.

남녀 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와 식생활관리조사(I)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체중, 신장, BMI,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BMI에 의한 비만도,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와 지속성,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음식섭취에 관한 사항, 스트레스의 원인과 해소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I)에 이어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시 선호하는 음식 맛과의 관계,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음식 섭취 후 느낌과의 관계, 스트레스와 생활 습관의 관계, 스트레스와 성격과의 관계, 스트레스와 비만도(BMI)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스트레스 시 선호하는 맛은 매운 맛과 단맛이며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음식 섭취 후 느낌은 조사대상자의 연령, 전공, 한 달간 사용 용돈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면과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스트레스가 심하고 운동량, 흡연량, 음주량, 평소 건강에 대한 관심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성격이 급할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심하며 비만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올바른 식생활과 생활태도 실천에 대한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군, 김정미, 최미경, "서울시내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식생활관리",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pp.413-422, 2003.
  2. M. S. Joung and K. J.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J. of Hospital Management," Vol.1, No.4, pp.1-18, 2006.
  3. H. Y. Joung, H. A. Kim, and I. S. Yang, "Verific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leadership of branch manager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ontracted food service company-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5, No.4, pp.109-120, 2007.
  4. M. J. Kim,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sequence of emotional labor between Korea and U.S.A.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the their job stress," J. of Hotel Management, Vol.15, No.1, pp.35-57, 2006.
  5. S. H. Kim, E. S. Kim, and S. H. Le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hotel employee," J. of Hotel & Tourism, Vol.6, No.2, pp.27-48, 2004.
  6. 김현아, "학교급식 영양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제 26 권, 제26호, pp.41-532, 2010.
  7. 김선희, "주부들의 식생활태도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와 자기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제22권, 제6호, pp.783-791, 2006.
  8. 김정숙, 김현오, 이선희, 정현숙, 이혜준, 남정혜, 이정실, 생애주기영양학, 2007, 광문각
  9. 이미숙, 박영숙, 현화진, 김순경, 송은승, 이경애, 이선영, 현태선, 김희선, 윤운영, 리빙토픽 영양과 식생활, 교문사, 2007.
  10. 하귀현, 문영자, "일부 대학생의 식품의 영양성분표시에 대한 인지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291-300,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291
  11. M. S. Lee and M. K. Woo, "Changes in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nutrition course," Korean J. of Nutrition, Vol.32, No.6, pp.739-745, 1999.
  12. 한명주, 조현아,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6 권, 제1호, pp.84-90, 2010.
  13. 김진희, 울산지역 성인의 스트레스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4. 하귀현, "대전지역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식생활 관리조사(II)",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329-337, 2011.
  15. 한명주, 조현아, "서울지역 대학생의 식습관과 스트레스정도에 관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17-326, 1998.
  16. 박금순, 김혜경, "사상체질형태에 따른 여대생의 식습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2권, 제2호, pp302-306, 2003. https://doi.org/10.3746/jkfn.2003.32.2.302

Cited by

  1. A Literature Study on the Amount of Red Pepper in Cabbage Kimchi between the Decades from 1920 to 2010 in Cookbooks, Newspapers and Magazines vol.30, pp.5, 2015, https://doi.org/10.7318/KJFC/2015.30.5.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