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의 해부학적 특성

  • Kwon, Sung-Min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ang, Jae-Hyuk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Chul-Woo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Mo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i, Jae-Seon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Hun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권성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장재혁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김철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김광모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이재선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Received : 2011.01.31
  • Accepted : 2012.07.23
  • Published : 2012.07.2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and host tree of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by the aid of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branch diameter of host tree at the parasitic part by mistletoe is larger than that of non-parasitic part. In the mistletoe, phloem consists of bast fiber and parenchyma cell and xylem is composed of fiber, ray and axial parenchyma cell, and vascular tracheid. The volume of ray parenchyma cell is higher than common wood species and is heterocellular made up of procumbent, upright, and square cells in the mistletoe. In the vascular tracheid of mistletoe, coarse spiral thickenings and bordered pit are present. Due to the insertion of the mistletoe haustorium, some deformed vessels but no tylosis are observed in the mistletoe. The shapes of mistletoe haustorium are sharp, and the destruction of the host tree cells due to the insertion of the mistletoe haustorium are not identified.

국내산 겨우살이의 해부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겨우살이 및 기주목인 신갈나무의 목재 조직구조를 관찰하였다. 겨우살이가 착생된 부분의 가지는 직경이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더 컸다. 겨우살이 사부는 인피섬유와 유세포로 그리고 목부는 후벽 목섬유, 방사유세포, 축방향유세포 및 도관상가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겨우살이 방사조직의 경우 일반적인 목재 수종에 비해 방사유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평복세포, 직립세포 및 방형세포 모두로 이루어져 있는 이형방사조직인 것으로 밝혀졌다. 겨우살이의 도관상가도관 세포벽 내강표면에 나선비후 그리고 세포벽에 유연벽공이 발달되어 있다. 겨우살이 흡기의 삽입에 따라 숙주 도관의 형태가 일부 변형되어 있으나 도관 내 타일로시스는 관찰되지 않았다. 겨우살이 흡기의 끝 부분 형태는 비교적 뾰족하게 나타났고 흡기 삽입에 따른 기주목 세포 자체의 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표준식물목록위원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2. 김한수. 2006. 한국산 겨우살이 열수추출액이 본태성 고혈압쥐의 지질성분 및 혈압 저하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37(3): 169-176.
  3. 박종흠, 지승택, 현창기, 진구복, 신현길. 2000. Comet assay에 의한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coloratum) 의 항유전독성 규명. 한국식품과학회지 32(2): 461-468.
  4. 박충헌, 박춘근, 방경환, 박희운, 성낙술. 2003. 한국산 겨우살이의 생장과 조직해부학적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2): 122-126.
  5. 송희순, 박연희, 김승균, 문원국, 김동우, 문기영. 2004. 겨우살이(Viscum album)와 칡뿌리(Pueraria radix) 추출물 의 NF-${\kappa}B$활성 억제 및 항산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10): 1594-1600.
  6. 이보덕, 박병수. 2009. 한국산 겨우살이 수간의 조직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4): 287-292.
  7. 장철수, 노광수. 2000. 겨우살이 Lectin의 항당뇨 효과. 대한의생명과학회지 6(2): 151-157.
  8. 장태오, 유양훈, 황용철, 김현구, 우현철. 2010.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겨우살이(Mistletoe, Viscum album)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1): 20-24.
  9. 정보연. 2000. 한국 및 유럽산겨우살이의 생리활성 성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10. 최경, 박광우, 김혁진, 이재동, 구자춘, 황성수. 2009. 한국산 겨우살이과 식물의 형태와 기주별 흡기 특징. 식물분류학회지 39(1): 4-11.
  11. 허선미, 안효선, 김규대, 김영훈, 김인보, 윤택준, 김종배. 2011. 한국산 겨우살이 Lectin B-chain의 면역증강 효과. 생약학회지 42(3): 246-252.
  12. 황석연, 양은영, 여정훈, 진지영, 김현성, 박원봉, 서정진. 2003. Lectin으로 강화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피부암에 대한 항암효과. 생약학회지 34(3): 218-222.
  13. Ashworth, V. E. T. M., and G. Dos Santos. 1997. Wood anatomy of for Californian mistletoe species (Phoradendron, Viscaceae). IAWA Journal 18(3): 229-245. https://doi.org/10.1163/22941932-90001486
  14. Calladine, A. and J. S. Pate. 2000. Haustorial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the root hemiparastic tree Nuytsia floribunda (Labill.) R.Br. and water relationships with its hosts. Annals of Botany 85: 723-731. https://doi.org/10.1006/anbo.2000.1130
  15. Calvin, C. L. and C. A. Wilson. 2006. Comparative morphology of epicortical roots in Old and New World Loranthaceae with reference to root types, origin, patterns of longitudinal extension and potential for clonal growth. Flora 201: 51-64. https://doi.org/10.1016/j.flora.2005.03.001
  16. Choi, J. W. and W. Y. Ahn. 1997. Structural analysis of water soluble lignin-carbohydrate complex (LCC) isolated from Korean camellia mistletoe (Pseudixus japonicus Hayata). Mokchae Konghak 25(3): 1-7.
  17. Kuo, J., J. S. Pate, and N. J. Davidson. 1989. Ultrastructure of the haustoria interface and apoplastic continuum between host and root hemiparasite Olax phyllanthi (Labill.) R. Br. (Olacaceae). Proto-plasma 150: 27-39.
  18. Mathiasen, R. L., D. L. Nickrent, D. C. Shaw, and D. M. Watson. 2008. Mistletoes: Pathology, systematics, ecology, and management. Plant Disease 92(7): 988-1006. https://doi.org/10.1094/PDIS-92-7-0988
  19. Nickrent, D. L. 2002. Parasitic plants of the world. In parasitic plants of the Iberian Peninsula and Balearic Islands. Lopez-Saez, J. A., P. Catalan and L. Saez (eds), Mundi-Prensa, Madrid. PP: 7-27.
  20. Salle, G. 1978. Origin and early growth of the sinkers of Viscum album L. Protoplasma 96: 267-273. https://doi.org/10.1007/BF01287687

Cited by

  1. In vitro antioxidant property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ing activities of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extracts vol.60, pp.3, 2017, https://doi.org/10.3839/jabc.2017.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