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omparison of Fishes by Trawl Fishery in Nakdong River Estuary, Korea

낙동강 하구 해역의 트롤어구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 Lee, Jong-Hee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Division, NFRDI) ;
  • Lee, Jae-Bong (Fisheries Resources and Environment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
  • Choi, Young-Min (Fisheries Resources and Environment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
  • Yeon, In-Ja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Division, NFRDI) ;
  • Lee, Dong-Woo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Division, NFRDI)
  • 이종희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연구과) ;
  • 이재봉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 최영민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 연인자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연구과) ;
  • 이동우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연구과)
  • Received : 2012.03.09
  • Accepted : 2012.05.23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the waters of nearby Nakdong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non-continuously and seasonally by shrimp beam trawl in summer 2007, winter 2009, and from spring 2010 to autumn 2010. During the study period, total fish species were collected 92 species, 36 families in study area. Shannon index was 1.893~2.962, and evenness was 0.050~0.231. Fish species composition was shown interannually and seasonally variations in the waters of nearby Nakdong River estuary. We carryed out cluster analysis to contain the data in previous and current study. Fish species composition was divided 3 groups which were 1987~1988 and 1998, 2001~2002, and 2007~2008 and 2009~2010. Average and minimum length in this study was longer than its in previous studies, and length range in this study was wider than its in previous studies, too. Dominant fish increased individuals and weight per unit area in this study. Especially Lophius litulon, Raja kenojei, Eopsetta grigorjewi, and Zeus faber were much better than past 2002. Liparis tanakai, Repomucenus valenciennei and Leiognathus nuchalis were dominant fish in previous study, but those decreased individuals and weight per unit area in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여름, 2009년 겨울, 2010년 봄, 여름과 가을까지 총 5회의 조사를 통하여 36과 92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다. 종다양성 지수는 1.893~2.962, 균등도 0.050~0.231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조사한 연구에서 출현종 수는 1998년 봄에 72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2002년 겨울에 10종으로 가장 적었다. 단위면적당 개체수에 대한 상위 10종에 대한 우점 비율은 전체 어획개체수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성 지수는 1.234~2.962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균등도는 0.047~0.324의 범위를 나타냈다. 주요 우점종은 성대, 청보리멸, 반딧불 게르치, 황아귀, 열동가리돔, 홍어, 물가자미, 문치가자미, 달고기, 보구치로 어획개체수와 어획량 모두 높았다. 이전 연구를 포함한 총 23회의 조사에서 상위 10종의 우점어류의 대한 유사도 분석에서는 연별 계절별 어종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7~1988년과 1998년, 2001~2002년, 그리고 2007~2008년과 2009~2010년의 조사로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체장조성의 변화는 현 연구에서는 이전연구보다 평균체장이 크고 체장범위도 어획최소체장이 커지고 범위도 더 넓었다. 우점종의 서식밀도 변화를 살펴보면, 현 연구의 우점종은 이전 연구에 비하여 어획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어획량도 많아졌다. 특히, 황아귀, 홍어, 물가자미, 달고기는 2008년 이후 조사에서 이전연구보다 개체수와 어획량이 월등하게 높아졌다. 이전 연구의 주요 우점종인 꼼치, 실양태 그리고 주둥치는 2002년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어획개체수가 많았으며, 2008년 이후 연구에서 어획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석남.허성회. 2003.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 129-135.
  2. 국립수산과학원. 2002. 한국 어구도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579pp.
  3. 김용억.홍성윤. 1980.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의 어류상. 자연보존연구보고서, 2: 137-146.
  4. 김익수.최윤.이충열.이용주.감병직.김지현. 199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5. 배경식.윤일병. 1989. 낙동강 하구의 환경특성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동태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2: 11-27.
  6. 안순모. 2007. 훼손된 자연 생태계 복원기술: 낙동강 하구역 습지 생태계 훼손지역 복원 및 관리기술. 환경부, 051-061-013, 288pp.
  7. 양홍준.김구환.금지돈. 2001.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두에서 어류의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34: 251-258.
  8. 이종희.이재봉.김정년.이동우.신영재.장대수. 2009. 낙동강 하구에서 새우조망으로 채집된 생물의 계절별 종 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1: 177-190.
  9.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 I. 적정 채집 방법. 한국수산학회지,24: 248-254.
  10. 이태.∙김광천. 1992.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액 및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5: 103-114.
  11. 장인권.김창현. 1992. 낙동강 하구언 건설에 의한 연체동물상 및 갑각류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5:265-281.
  12. 전상린. 1987. 낙동강 하류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협회보고서, 9: 77-90.
  13.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14. 진평.허성범. 1985. 낙동강 하구둑 공사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 보고서. IMS 85-NS2 부산수산대학.
  15. 진평.허성범. 1987. 낙동강 하구둑 공사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 IMS 87-NS-2. 부산수산대학.
  16. 한국수자원공사. 1993. '93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17. 한국수자원공사. 1994. '94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18. 한국수자원공사. 1995. '95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19. 한국수자원공사. 1996. '96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어류조사.
  20. 허성범. 1991. 낙동강 하구둑 건설 관련 공유수면 준설로 인한 어업피해 조사. 부산수산대학교.
  21. 허성회.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288-301.
  22. 허성회.정석근. 1999.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5: 178-195.
  23. 해양환경관리공단. 2012.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1997-2010. http://www.meis.go.kr/
  24. Kang, C.K., E.J. Choy, S. Paik, H. Paerk, K. Lee and S. An. 2007. Contributions of primary organic matter sources to macroinvertebrate production in an intertidal salt marsh (Scripus triqueter) ecosystem. Mar. Ecol. Prog. Ser., 334: 131-143.
  25.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https://doi.org/10.1002/j.1538-7305.1948.tb01338.x
  26.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