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목재 조경시설물의 목재 종류별 하자분석 - 휴게시설물 목재기둥의 균열하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Defects in Wooden Landscap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Timber - Focused on the Defects in Pillars of Out Door Rest Furniture -

  • 박원규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 신훈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ark, Won-Ky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ersity) ;
  • Shin, 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 투고 : 2012.05.04
  • 심사 : 2012.06.27
  • 발행 : 2012.06.30

초록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안전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조경시설물에 환경 재료의 하나인 목재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미송을 사용한 목재 조경시설물은 틀어짐, 균열 등의 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수입목재인 활엽수재(hardwood)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수입 목재는 고가이며, 실제 하자 발생이 미송에 비해 얼마나 저감되는지에 대한 정보나 실태조사 없이 사용되고 있어, 시공자에게 목재 수종별 특성과 품질 하자 발생 정도에 대한 정보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재 조경시설물에 사용되는 미송, 부켈라, 니아토, 말라스 목재 4종류를 대상으로 목재의 균열 하자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시공자로 하여금 적절하게 목재를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게시설물 목재기둥의 목재 표면적 당 균열 하자는 미송 1.90개소/$m^2$, 말라스 0.83개소/$m^2$, 부켈라 0.14개소/$m^2$, 니아토 0.04개소/$m^2$로 조사되어 니아토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재 종류별 강도와 하자율 비교를 보면 목재의 강도는 말라스가 우수하였으나, 하자율은 니아토가 더 적게 발생한 것으로 보아 목재 강도가 높은 것이 하자가 적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목재 종류별 단가와 하자율 비교를 보면 미송이 가장 저렴하고 부켈라가 가장 고가로 조사되었으며, 하자처리 비용을 감안할 때 하자가 적게 발생하는 니아토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목재 조경시설물 설치 시 시공자로 하여금 적절한 목재를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조경시설물의 품질 향상과 하자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life have resulted in a heightened awareness of safety and the environment. As a result, timber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is used for landscape facilities and a wide range of purposes. Bu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efects since there are twists and cracks that can be found in wooden landscape facilities. This has led to the use of imported hardwood instead of the Western Hemlock which has been in widespread use. Hardwood is expensive. However, it is being used without any information or research on how much it reduces the actual defects. Construction contractors are in great need of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fect rates of different types of timber.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racks in four types of timber - namely the Western Hemlock, Burckella, Nyatoh and Malas -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construction contractor for them to be able to select and use the appropriate type of timb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estern Hemlock had 1.90 $cracks/m^2$, Malas had 0.83 $cracks/m^2$, Burckella had 0.14 $cracks/m^2$, and the Nyatoh had the least number of surface defects at 0.04 $cracks/m^2$. Second, while Malas has the highest degree of strength timber, Nyatoh had the smallest defect rate. This showed that having high timber strength does not necessarily mean it has less defects. Third, the Western Hemlock was the least expensive and Burckella was the most expensive. However, considering the cost of repairing defects, it would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to use Burckella and Nyatoh which have low defect rat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landscape construction contractors for them to be able to select and use the appropriate type of timber when constructing wooden outdoor rest furnitur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quality enhancements and defect reduction in landscape fac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윤수, 김영숙, 김규혁(2004) 목재보존과학. 광주 : 전남대학교 출판부. pp. 18.
  2. 김종만, 이원희, 김정환(2001) 고온수증기처리 목재의 전단강도 특성. 목재공학 295(4) : 9-15
  3.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9) 조경시설물 상세설계 매뉴얼. pp. 156.
  4. 문봉기(2005) 공동주택의 하자원인 분석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변미승(2001) 목재시설물의 선호도 및 이미지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
  6. 송만재(2002) 목조건축용 주요 수입목재의 열화특성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
  7. 심국보, 이도식, 박정환, 홍인표(2000) 국내 유통목재의 강도특성 분석.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48-51
  8. 이상석, 최기수(1997) 조경시설공사의 시공품질 분석을 통한 품질관리항목의 중요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3) : 7.
  9. 이은영(2005) 국내. 외산 목재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임지택(2009) 조경시설물의 품질 보증 방안에 관한 연구 : 조경시설물하자발생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재명, 강선구, 허남주, 박상진(1988) 원색 세계목재도감. 서울 : 선진문화사. pp. 95-172.
  12. 한국열대목재연구원(2003) 수입원목도감. 서울 : 중앙. pp. 195.
  13. 한권영(2008) 조경 목재시설물의 갈라짐 실태 및 하자 저감방안 : 조경현장의 파고라, 정자 기둥재를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Eaton R. A. and M. D. C. Hale(1993) Wood-Decay, Pests, and Protection. London : Chapman&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