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생에서의 월경전기증후군 및 월경전불쾌장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MS and PMDD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이문수 (고려대학교 의료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양재원 (고려대학교 의료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고영훈 (고려대학교 의료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고승덕 (협성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료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Lee, Moon-Soo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
  • Yang, Jae-Wo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
  • Ko, You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
  • Ko, Seung-Duk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Hyup Sung University)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 투고 : 2012.02.05
  • 심사 : 2012.03.28
  • 발행 : 2012.07.01

초록

연구목적 :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PSST)를 통해서, DSM-IV상의 월경전불쾌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에 대한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월경전기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 및 PMDD의 빈도, 기능장애, 위험인자들, 월경에 대한 태도, PMS 및 PMDD의 발현 양상 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방 법 : 서울 및 수도권의 중소도시인 수원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다니는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월경에의 태도 질문지, PSST를 사용한 단면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1410명에게 질문지가 배부되었으며, 그 중 1063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PSST의 결과에 따라 3군[정상/경도 PMS군(n=759, 71.4%), 심한 PMS군(n=180, 16.9%), PMDD군(n=124, 11.7%)]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별로는 기본적인 역학적 변수 및 위험 인자(음주, 커피 소비, 월경통의 강도, PMS의 가족력)들의 분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응답자들을 또한 월경에 대한 태도에 따라 3군으로 구분하였다[긍정적 태도군(n=168), 부정적 태도군(n=122), 양가적 태도군(n=773)]. 심각한 월경전기 증상들을 호소하는 이들의 비율은 이 3가지 태도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부정적 태도군은 다른 군들에 비해 더 많은 월경전기 증상들을 보고하였다. 결 론 : PMS와 PMDD는 한국의 젊은 여성들에서 널리 발견된다. 일부 응답자들은 그들이 PMDD에 대한 DSM-IV의 진단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였음에도 유의한 기능손상을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월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더 많은 월경전기 증상들의 경험과 관련이 있었다.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functional impairment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 and premenstrual syndrome(PMS) in young women. Methods : A total of 1063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urban areas(Seoul and Suwon) of Korea. Questionnaires for sociodemographic data and risk factors of PMDD, attitude about menstruation, and the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PSST) were appli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severe moderate to severe PMS and PMDD were 16.9% and 11.7%, respective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lcohol and coffee consumption, severity of menstrual cramp, and family history of PMS among the moderate to severe PMS, PMDD, and no/mild PMS groups. Although some participants did not fulfill diagnostic criteria for PMDD, they showed significant functional impairment. Participants with negative attitude about menstruation reported premenstrual symptoms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 positive or ambivalent attitude about menstru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S and PMDD were prevalent and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in young females. Some participants reported significant functional impairments although they did not meet the full DSM-IV diagnostic criteria for PMDD. Negative attitude about menstruation was associated with more premenstrual symptoms experien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