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s of Long Hour Guarding in Bodyguards on the Heart Rate Variation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경호원들의 장시간 경계근무가 심박변이도와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In this study a practical guarding work is carried out for 180 minutes as the same as the actual guarding work that is done by nin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s in K University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circadian rhythms during long hour guarding in bodyguards at practical sites. In the results of the tests of the heart rate variation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with the interval of 30 minutes using HRV (Heart rate variabilit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V and SDNN and that leads to maintain it stably during the guarding work for 180 minutes. In the case of TP which reflects the overall activity level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t shows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p<.05) at 90 and 120 minutes compared to that of normal states. Also, it show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after a lapse of 120 minutes and that shows a de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for the guarding work more than 120 minutes. Although differences in VLF, LF, and HF are not significant levels, these are influenced on the change in TP. The LH/HF ratio that represents the balance between the sympathetic nerve and the parasympathetic nerve shows a significant high level (p<.05) after a lapse of 30 minut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guarding work after a lapse of 120 minutes is decreased and there are some tensions and excitations after a lapse of 30 minut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guarding work.

본 연구에서는 경호경비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적인 경호경비원들의 장시간 경계근무 중 발생하는 하는 생체리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K대학교 경호학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실제 경계근무와 같은 형태로 180분간 경계근무를 실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HRV(Heart rate variability)를 통하여 심박동 변이도와 자율신경검사를 실시 한 결과 심박동 변이도 HRT과 SDNN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 180분간의 경계근무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 하였다. 자율신경계의 전체적인 활성정도를 반영하는 TP는 안정시 보다 90분과 120분에 유의(p<.05)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120분 이후에는 유의한 감소하여, 120분 이상의 경계근무에서는 자율신경계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LF, LF, HF 모두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120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TP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도를 나타내는 LF/HF ratio는 경계근무 30분에 유의하게(p<.05)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계근무 120분 이후에는 집중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경계근무 시작 30분 까지는 근무시작으로 인한 긴장감과 흥분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