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진료시스템과 보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Security

  • 투고 : 2012.05.30
  • 심사 : 2012.06.18
  • 발행 : 2012.06.30

초록

최근 데이터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초고속 전송 네트워크의 대중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에 오프라인에서 직접 행해지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원격지에서 온라인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기술은 의료분야에도 적용 또는 응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병원의 진료예약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진료예약의 경우 대부분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직접 해당병원에 방문하거나, 전화접수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진료를 받고 줄을 서서 진료비용을 납부해야만 하며 병원의 진료비용을 납부한 환자가 다시 의사로부터 종이처방전을 발급받아 근처 약국에 가서 줄을 서서 처방약을 받아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중화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환자가 진료접수 및 진료비용 수납 등의 진료절차를 진행할 때 별도의 시간소모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고 종이 없는 처방전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의료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때 환자의 의료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대책에 대해 논의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s technology, it is now possible to be offered online from remote places. This kind of communications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The medical treatment appointments in hospitals can be its typical example. But still, in most of hospitals, patient or guardian have to physically visit or call to the hospital to set up an appointment for the medical treatment. In addition, they have to wait in line in order to pay after receiving the medical treatment. The patient or guardian, after paying, receive a paper prescription and they go to a nearby pharmacy to take the medicines. They must wait in line again there in order to receive the medicine from the pharmacy.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uggest a smart medical treatment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iscussed above. With this proposed system, the user will be able to make an appointment, make payments and receive medication quickly and easily without spending extra time. Also, there will be no need for paper prescriptions with this system. We discuss about the security of medical information for this proposed smart medical treatment system propose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설화외,"이기종 의료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통합을 위한 XML기반의 미디에디터 설계", 한국멀티비디어학회 2004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4.
  2. Schwartz KL,"Family medicine patients' use of the internet for health information",J Am Board Fam Med pp,39-45, 2006.
  3. Nam SI, "Development of investment evaluation model for ubiquitous health servic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 ment 15,pp.183-202, 2008.
  4. 노승민외,"의료정보보호를 위한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모델 설계",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pp.358 -360, 2004.
  5. 홍동완외,"XML 문서를 이용한 병원정보교환 시스템", 대한의료정보과학학회 논문지, VOl.7,No.2,2001.
  6. 홍동완외,"의료 정보교환 시스템의 정보보안",한국 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pp.460-462,2001.
  7. Chung YC,"A study on e-Health policy scheme in Korea." KIHASA, 2005.
  8. 노시춘,"보안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인트라넷 네트워크 아키텍쳐 모델",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논문지 제10권 제1호,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