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ndardization of Identification-number for Processed Food in Food-traceability-system

가공식품에 대한 이력추적관리번호 부여체계의 표준화 방안

  • Choi, Joon-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Research Institute for Food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최준호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원광식품산업연구원)
  • Received : 2011.12.21
  • Accepted : 2012.06.20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Facing a number of global food-related accidents, the concept and system for food traceability have been designed and introduced in many countries to manage the food-safety risks. To connect and harmonize the various food traceability-information in food traceability system according to the food supply chain, the coding system of identification-number for food-traceability has to be standardized. The GTIN (Global Trade Item Number) barcode system which has been globally standardized and implemented, is reviewed with the mandatory food-labeling regulation in expiration date of processed foods. The integration of GTIN-13 bar-code system for food-traceability is a crucial factor to expand its function in the food-related industrial areas. In this literature, the standard coding system of identification-number for food-traceability is proposed with 20 digit coding number which is combined with GTIN-13 bar-code (13 digit), expiration date (6 digit), and additional classification code (1 digit). This proposed standard coding system for identification-number has a several advantages in application for prohibiting the sale of hazard goods, food-recall, and inquiring food traceability-information. And also, this proposed coding system could enhance the food traceability system by communicating and harmonizing the information with the national network such as UNI-PASS and electronic Tax-invoice system. For the global application, the identification-number for food-traceability needs to be cooperated with the upcoming global standards such as GTIN-128 bar-code and GS1 DataBar.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는 식품이력추적관리를 위한 식별의 기준으로서 식품이력정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식품공급체인에 따라 각 단계별로 기록, 관리, 보관하는 이력정보를 연결시키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가공식품에 대한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를 자율적으로 부여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는 식품관련 산업분야에서 운영되고 있는 기존의 식별방법과 조화롭게 연계되지 않으면 그 효용성과 적합성이 낮아 산업현장과 소비자로부터 외면 받을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체계와 국내의 식품관련 법규를 접목하여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를 부여하는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를 실제 산업현장의 운영체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는 총 20자리로서 해당 상품(식품)의 기본정보에 해당하는 13자리의 GTIN 바코드, 표시기준으로 의무화된 6자리의 유통기한(제조년월일 또는 품질유지기한), 1자리의 추가정보(공장식별코드 또는 생산관리단위)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부여체계는 식품 산업과 유통(판매)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는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식품이력추적관리체계의 도입에 따른 투입비용을 최소화하여 식품이력추적관리체계의 도입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국제적인 추세와 기존의 식품관련 정책 및 규정과도 무리 없이 조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식품이력추적관리 로고를 별도로 부착하여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를 인식하는 방법을 안내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고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를 최소 판매 포장단위에 추가로 표기하기 위한 별도의 투입비용을 제거하는 효과도 고려하였다. 식품이력추적관리시스템은 이력정보를 종합적으로 기록 관리 연계 활용하여 식품사고 발생 시 명확한 원인규명과 이력추적을 통한 위해식품의 신속한 차단 및 회수, 식품과 관련된 이력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의 표준화 방안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에서 위해식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해식품 회수지침"에 따른 체계적인 회수과정과 검증체계 역시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통관시스템인 "UNI-PASS"와의 연계는 모든 수입식품을 대상으로 식품안전관리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전자세금계산서 제도"에서 기록되는 거래정보와의 연계로 유통과정에 대한 투명한 관리체계의 도입을 앞당길 수도 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을 위한 식품이력정보의 조회과정에서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의 표준화로 입력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바코드 인식기능에 유통기한과 추가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도입하면 스마트 기기나 키오스크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식품이력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용,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 도입과 추진현황, 보건복지포럼, 136, 63-67 (2008).
  2. 이재현, 식품안전을 위한 추적성 관리, Safe food, 5(3), 8-12 (2010).
  3. ISO/DIS 22005, Traceability in the feed and food chain - General principles and basic requirements for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2007).
  4. Codex (CAC/GL 60-2006), Principles for Traceability/Product Tracing as a Tool within a Food Inspec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2006).
  5. EU/Regulation (EC) No 178/2002,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laying down the general principles and requirements of food law, establishing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and laying down procedures in matters of food safety (2002).
  6. RMRIC, Handbook for Introduction of Food Traceability (Guideline for Food Traceability), Available from: http:// www.fmric.or.jp/english/ (2007).
  7. 농림수산식품부,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0311호),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2962호),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농림수산식품부령 제194호).
  8. 농림수산식품부, 농산물품질관리법 (법률 제10629호), 농산물품질관리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2731호), 농산물품 질관리법 시행규칙 (농림수산식품부령 제180호), 농산물 이력추적관리기준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09-435호), 농산물이력추적관리제도 세부실시 요령 (농관원 고시 제 2009-32호).
  9. 농림수산식품부, 수산물품질관리법 (법률 제10331호), 수산물품질관리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2962호), 수산물품 질관리법 시행규칙 (농림수산식품부령 제194호), 수산물이력추적관리기준 및 대상품목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수산물이력추적관리 세부실시요령 제정고시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생법 (법률 제11048호),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법률 제10219호),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이력추적관리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0-92호).
  11. 식품의약품안전청, 안전안심 먹을거리 환경서비스, "식품이력관리 표준프로그램", Available from: http://www.tfood.go.kr/ (2012).
  12. Agricultural and Agri-Food Canada, Can-Trace Standard, Canadian Food Traceability Data Standard Version 2.0, Available from: http://www.can-trace.org/REPORTS/tabid/81/Default.aspx/ (2006).
  13. TraceFood, TraceFood Good Traceability Practice(GTP) Guide, Appendix A: Recommendations for Good Traceability in the Food Industry, Available from: http://193.156.107.66/ff/ po/TraceFood/guidelines.htm/ (2009).
  14. GS1, GS1 Global Traceability Standards, Business Process and System Requirements for Full Chain Traceability(Issue 1) (2007.09).
  15. GS1, GS1 Standards Document: GS1 Global Traceability Standard (Issue 1.2.2) Available from: http://www.gs1.org/ (2010.03).
  16. GS1, The GS1 Traceability Standard - What you need to know (2007.01).
  17. GEPIR(Global Electronic Party Information Registry), Factsheet : what you need to know, Available from: http://gepir.gs1.org/v32/xx/default.aspx?Lang=en-US/ (2011).
  18. Sun, J., Zhao, H., Hu, G., Study of the Key Techniques for Implementing Barcode Network, Studies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 317, 47-57 (2010). https://doi.org/10.1007/978-3-642-15405-8_5
  19.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GS1표준바코드, Available from: http://www.gs1kr.org/ (2011).
  20. Chaoa, C.C., Yangb, J.M., Jen, W.Y., Determining technology trends and forecasts of RFID by a historical review and bibliometric analysis from 1991 to 2005, Technovation, 27, 268-279 (2007).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6.09.003
  21. 신동목, 최성희, 이공섭, 2005년부터 2010년 사이의 RFID 기술적용 현황, 한국해양공학회지, 24(4), 86-93 (2010).
  22. Sullivan, P., Kang, J., Quick Response adoption in the apparel manufacturing industry: Competitive advantage of innova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7(1), 1-13 (1999).
  23. USDA, National Animal Identification System(NAIS) : A User Guide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sources (2007).
  24.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Australia, Animal Health - Biosecurity & Product Integrity, NLIS(National Livestock Identification System) and PIC(Property Identification Code), Available from: http://www.nt.gov.au/d/Primary_Industry/ (2011).
  25. The Scottish Government, British Cattle Movement Service, Cattle Keepers Handbook, Available from: http://www.scotland.gov.uk/Topics/farmingrural/Agriculture/animal-welfare/IDtraceability/cattleid/ (2011.08).
  26. 박일한, 글로벌 식량위기 시대의 신식량안보 전략, 연구보고서, 삼성경제연구소 (2011.02.14).
  27.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 등의 표시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32호) (2009.06.01).
  28. 대한상공회의소, 코리안넷, 위해상품차단시스템, Available at: http://www.koreannet.or.kr/ (2011).
  29. 식품저널, 부적합식품 회수율 24.3% 그쳐, Available from: http://www.foodnews.co.kr/news/board.php?board=news&command=body&no=19424/ (2010.09.09).
  30. 식품의약품안전청, 위해식품 회수지침 (Food Recall Manual) (2008).
  31. 관세청, 국가관세종합정보망 전자통관시스템, Available from: http://www.unipass.or.kr/ (2011).
  32. 국세청,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Available from: http://www.esero.go.kr/ (2011).
  33. 홍연탁, 식품산업 이력추적관리 시스템 현황 및 방향, 월간포장계, 167, 52-61 (2007).
  34. 임대명, 김철권, 민병훈, 정회경, RFID기반의 농산물 생산 이력정보 제공 시스템,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집, 14(4), 976-982 (2010).
  35. 최인영, 정순기, 축산물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이력 추적관리모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5(9), 87-97 (2010)
  36. 김진백, RFID 기반 수산물이력제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 및 공급자 관점 중심으로, 수산경영론집, 38(2), 25-40 (2007).
  37. 보건복지부, 의약품 바코드 표시 및 관리요령 일부 개정, 월간포장계, 178, 138-14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