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ilates Mat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flammation Markers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필라테스 매트운동이 근위축 비만 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염증반응지표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5.29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ilates mat exercise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flammation markers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All subjects were sarcopenic obesity(height for each of the arms, legs, appendicular muscle mass ratio of 1.16kg/m2, 4.31kg/m2, 5.21kg/m2 under and % body fat is more than 30%) elderly performed the pilates mat exercise during 12-week for 60 minutes 3 times a weeks. Al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the change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TC, TG, HDL-C, LDL-C, Glucose, Insulin) and inflammation markers(fibrinogen, adiponectin, leptin, CRP).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exercise group were as follows; The weight, % body fat, TC, TG, LDL-C, fibrinogen, CRP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uscle mass, HDL-C, adiponectin had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lso, pilates mat exercise can effective to improve sarcopenic obesity, and pilates mat exercises performed coy shrink obesity to cardiovascular disease and inflammatory response indicators of older women as old man's physical features of the deterioration of the prevention of obesity and muscle strength loss, causing the effective exercise method is meant to be.

본 연구는 근위축 비만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규칙적인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염증반응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근육감소증 기준(팔, 다리, 사지근육량에 대한 신장의 비가 각각 1.16kg/m2, 4.31kg/m2, 5.21kg/m2 이하)과 체지방율이 30% 이상인 노인여성으로, 운동집단은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12주, 주3회, 일일 60분간 실시하고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염증반응지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체중과 체지방량은 감소하고 근육량은 증가하였으며 심혈관질환과 염증반응지표에서는 혈중지질과 Fibrinogen, CRP는 유의하게 감소하고 Adiponectin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필라테스 매트 운동의 수행은 근위축 비만 노인여성의 심혈관질환과 염증반응지표의 개선으로 노인의 신체적 기능의 저하를 야기한 비만과 근력의 감소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1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54-G00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