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와 억제 척도의 재검증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Reexamination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cale and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in P·E Class

  • 투고 : 2012.07.30
  • 심사 : 2012.10.22
  • 발행 : 2012.09.30

초록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체육수업의 상황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행동활성화와 행동억제척도(최헌혁, 허진영, 2010)를 재검증하고, 이것이 자기결정성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소재 고등학생 65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첫째, 행동활성화의 하위요인인 친구관계, 교사행동, 정서전환, 긍정적수업태도가 높을 수록 자기결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억제의 하위요인인 획일적수업구조, 부정적교사태도, 처벌, 유능감부족은 낮을수록 자기결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행동활성화와 억제요인이 앞으로 체육수업 수업상황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적용연구의 가능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examination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inhibition scale(Choi & Huh, 2010) on self-determination in order to analysis situational structure for P·E class which is perceived by students. To obtain the purpose, 656 high-school students from Gyeonggi-do area answered questionnaire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which is obtain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was analyzed using by the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uression analysis, EFA, and CFA with SPSS 18.0 and AMOS 16.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more students have friend relation, teacher behavior, emotion change, and positive class attitude that are sub-factors of behavioral activation·inhibition, the more they have self-determination. Second, the less students have typical class structure, negative teacher's attitude, punishment, and lack of self-efficacy, the more they have self-determination. Overall results were discuss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P·E clas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1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1-53C-G0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