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 여가의 심리적 기능성에 대하여: 진지한 여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for the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Casual Leisure: Compared with Serious Leisure

  • 투고 : 2012.03.31
  • 심사 : 2012.06.15
  • 발행 : 2012.05.31

초록

지난 10여년간 진지한 여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던 데 반해 일상적 여가에 대한 여가학적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리고 일상적 여가에 비해 진지한 여가를 더욱 바람직하고, 건강한 여가생활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와의 비교를 통해 일상적 여가의 심리적 기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1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지한 여가형'과 '일상적 여가형' 집단 간에 여가이득과 여가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진지한 여가형'이 '일상적 여가형'에 비해 여가를 통해 신체건강과 대인관계, 자기조절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여가만족도도 '진지한 여가형'이 '일상적 여가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났다. 그러나 '진지한 여가형'과 '일상적 여가형' 집단 간에 자아 및 삶 기능성 변수(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 행복,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높은 수준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행복, 삶의 질을 보고하고 있으며, 집단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일상적 여가를 즐기는 것으로도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존감을 유지하면서 삶에 대한 행복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is a large body of literature that studies serious leisure participants in a wide range of activities. By comparison, casual leisure has received scant attention, bearing few empirical studies. And serious leisure is often cast in an superior role in comparison with casual leisure for optimally healthy or beneficial leis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casual leisure-serious leisure'. Especially, we pay more attention to reveal the positive functioning of casual leisure. It draws findings from the data of 291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omparison with 'casual leisure group', 'serious leisure group' was showed a higher significant increase in leisure related functioning(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benefits such as physical health, relationship and self-controlibility).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self-life functioning variables(positive·negative self-esteem, happiness, quality of life)'. It implies even though serious leisure has more relation to positive leisure experiences, people maintain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and experien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their entire lives through casual leisure participation as much as serious leisur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0-322-G0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