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 Ageing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Empirical Evidence from Public Job Creation Program for Elderly

적극적 노년생활과 세대 간 가족관계 - 노일일자리사업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분석 -

  • 이석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Received : 2012.02.05
  • Accepted : 2012.03.19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s which support that the problems of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of elderly can be alleviated by intervening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elderly by means of active ageing policy. The major empirical challenge to address this question is the possibility of selection bias caused by reversed causal relationship. To address this challenge, I constructed comparison group with 'Eligible Non-Participants' (ENP), and used instrumental variable method to estimate the empirical model. My findings indicate that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both in the aspects of economical solidarity and associational solidar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as time use pattern of the elderly becomes more active. The improvement effect is intensively observed for the group of elderly who do not live with their adult children. Th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the improvement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can be added as a new benefit of active ageing policy.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을 치유할 수 있는 세대 간 가족관계를 국가가 적극적 노년정책 수단을 통해 개선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실증분석의 핵심과제는 역방향의 인과관계의 존재에 의한 선택편의를 통제하는 작업이며 이를 위하여 '적격비참여자'로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도구변수로 실증모형을 추정하는 전략을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노년기의 생활패턴이 적극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자녀들과의 가족관계는 경제적 연대측면이나 유대적 연대측면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개선효과는 자녀세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부모들에게 집중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대 간 가족관계의 개선이 적극적 노년정책의 새로운 편익으로 추가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정책적 의미를 갖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