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and Central Asia : Soft Balancing Strategy against the U.S.

중국과 중앙아시아 관계 : 미국에 대한 소프트밸런싱 전략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5.30
  • Accepted : 2012.07.05
  • Published : 2012.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China's emergence and its influence on international society against the U.S. hegemony. Recently, China's influence has proliferated in Central Asia as well as East Asia at a rapid rate. China, through its soft balancing strategy, increased its influence in Central Asia in response to the U.S. power and behavior.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among China and Central Asia with the view of soft balancing theor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hina's strategy on Central Asia is soft balancing, this paper presents three indicators: 1) Second-tier major power is willing to take a strategy that increase diplomatic cost of hegemony or counter the hegemony influence through using regional and global multilateral cooperation. 2) Second-tier major power is willing to not only increase its influence by strengthening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but also check the extension of the hegemony economic influence into its boundary. 3) Second-tier major power intends to prevent expanding hegemony military influence into the region through limited military cooperation and increasing military spending, and denying territory. This paper analyze China's multi-polar strategy, economic and energy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 countries, and the military and security cooperation with multilateral organizations such as SCO.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기존 패권국가인 미국에 대응해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자신의 영향력을 유지·확대하고 있는 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최근 중국의 영향력은 동아시아를 넘어서 중앙아시아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은 소프트밸런싱 전략을 통해 미국을 견제하며 중앙아시아에 대한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관계를 대미 견제의 소프트밸런싱 이론을 적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중앙아시아에 대한 전략이 소프트밸런싱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3가지 지표를 제시한다. 1) 도전국가는 지역적 또는 국제적 다자협력을 활용하여 패권국가의 외교적 비용을 높이거나 패권국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2) 도전국가는 역내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여 자국의 영향력을 증대하는 한편, 패권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도전국가의 역내로 확대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한다. 3) 도전국은 군사동맹보다는 역내 국가들과 연합을 통해 제한적인 군사훈련과 군비 증강, 영토의 부인의 방식으로 하나의 국가가 패권국가에 대응하여 초래할 수 있는 위험부담을 분산 또는 감소하고 패권국의 군사적 영향력이 역내로 확대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표를 통해 중국의 다극화 전략,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과의 경제협력과 에너지 협력 그리고 SCO 등 다자기구를 통한 중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 간의 군사안보 협력을 분석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1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1-327-B00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