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용선계약상 정박기간에 관한 용선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terer's Duty & Right in Applying Laytimes of the Voyage Charterparty

  • 김명재 (목포해양대학교 국제해사수송과학부)
  • 투고 : 2012.01.27
  • 심사 : 2012.03.28
  • 발행 : 2012.05.31

초록

해운시장에서 부정기선은 주로 항해용선계약에 의해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선적과 양하에 소요되는 항차일수를 최소한으로 단축시켜 운항이익을 창출하는 선박이다. 특히 작금의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해운시황에서 선주의 입장에서 열악한 해상운임으로 운항이익을 창출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정한 항만을 상대로 타임 스케줄에 의해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정기선과는 달리, 부정기선은 수많은 종류의 화물을 찾아 세계의 모든 항만에 기항한다. 따라서 항해용선계약은 매 항차 각기 다른 하주를 상대로 운송계약을 맺어야 하고, 그에 따라 운항효율성제고에 부단한 노력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진다. 부정기선의 운항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항해기간과 정박기간이다. 이 중 정박기간은 항만에서 선적과 양하를 위해 용선자에게 허용된 시간으로서 용선계약서에 그 기간이 약정된다. 용선계약서에 명시된 약정된 기간을 초과하여 정박기간을 사용하였다면 용선자는 선주에게 체선료를 지불해야하고, 그 반대인 경우는 선주가 용선자에게 조출료를 지불한다. 그러나 정박기간의 적용범위와 관련하여서는 가장 많은 분쟁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화물에 따라, 그리고 항만의 관습에 따라 매우 다양한 상황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중점을 두고 정박기간과 관련하여 용선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하여 고찰한다. 일반적으로 정박기간은 용선자를 위해 주어지며 용선자에게 유리한 형식을 취하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이다. 이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로 영미법에 의한 판례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해석을 덧붙이며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The main purpose of tramp ships in shipping markets is to produce operation profits by minimizing the running days in a contract of the voyage charterparty. It is an especially difficult task for the owners to earn operation profits in the present recessional shipping market. Tramp ships are moving towards globalization in order to look for a variety of cargoe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liners operating regularly as per the fixed time schedule. Tramp shipping, therefore, requires special attention every voyage to secure operation efficiency which comes from minimized sea and laytime in port. The laytime is allowed by owners but if the charterers use more laytime than that which is incorporated in the charterparty, then a compensation known as 'demurrage' must be paid to owners. Conversely if the time is shorter this is called 'despatch' and in this case the owners are paid. As the laytime issue in the voyage charter is somewhat delicate, it often causes much disputes between charterers and owners during the cargo handling in ports.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terers' right and duty on the laytime which is usually applied for the benefit of the charterers. Reference is also made to English law cases to reinforce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 will make relevant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희, "1994년 Gencon 항해용선계약에 관한 고찰", 한국해운학회지, 제29호, 1999, 43-73.
  2. 박길상.양정호, "항해용선계약에서 정박기간의 개시요건", 한국해법학회지, 28권, 2006, 277-293.
  3. 사공훈.최석범, "국내벌크선박의 체선원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25권제2호, 2009, 263-284.
  4. 이용군, "항해용선계약 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학회지, 제20호, 1990, 45-55.
  5. 장영태.김성귀, "선박체항시간비용의 추정에 관한 연구", 해운학회지, 제16호 , 1993, 229-259.
  6. 정동윤, "선박의 운항채산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학회지, 제25호, 1997, 70-82.
  7. 한낙현, "항해용선계약상 체제기일전의 정박기간개시의 효과에 관한 고찰-Front Commander호 사건에 대한 판레평석-", 해사법연구, 제20권 1호, 2011.
  8. 大木一男, 傭船契約の實務的解說, 東京, 成山堂, 1993.
  9. 西澤興志英.東通生, 傭船契約と船荷證券の解說", 東京, 海文堂, 2002.4.
  10. 小川武, 不正期船と專用船-大量輸送の主役たち-, 交通硏究協會, 東京, 成山堂, 1997.
  11. (財)日本海技協會, 傭船契約と海上物品運送契約, 東京, 成山堂, 1983.
  12. 津田子.椿弘次.吉武雅子, 傭船契約の法理, 東京, 成文堂, 1986.
  13. Alan E. Branch, Elements of Shipping, Champman and Hall, New York, 1983.
  14. Alan E. Branch, Economics of Shipping, Champman and Hall, New York, 1988.
  15. Davies Donald et. al., Commencement of Laytime, Third Ed., LLP, 1998.
  16. Dockray M., Cases and Materials on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Third Ed., Cavendish, 2004.
  17. Goss R. O., Mann, M. C., The Cost of Ship's Time , Cambridge University, 1977.
  18. Julian Coke et. al., Voyage Charters, London, 1993.
  19. John Schofield, Laytime and Demurrage , London, 1990.
  20. Michael B. S., Laytime, London, 1982.
  21. William V. Packard, Laytime Calculating, London, 1989.
  22. Wilson J. F., Carriage of Goods by Sea, Fifth Ed., Longma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