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munity Narrative Ethics of China·Taiwan Film - concentrate on Globalization and Locality -

중국·대만 영화의 공동체 서사윤리 - 세계화와 로컬리티의 문제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11.20
  • Accepted : 2012.01.06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ommunity narrative ethics of China·Taiwan film.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locality. I especially wish to look this part through narrative·hermenutical approach and communitarian ethics against contemporary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orks of Hou Hsiao-Hsien, Zhang Yimou, Lee Ang, Tsai Ming-Liang, Chang Tso-chi and Chen Kaige. China and Taiwan's main directors show family and country's community narratives through the self understanding and identification that we call narrative conception of the self. The idea of local community and identity is related with inheritances, history and tradition from the past of my family, my city, my tribe, my nation. Main directors make and have the story of those communities which I derive my identity. And community narratives from the life histories that define us form local community's solidarity should have the openness to other communities. Community narratives shouldn't be separated from the aspect of globalization and locality. After all, I examined whether the local community narratives reveals meaningfully from the standpoint of globalization and locality through China·Taiwan film.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 시대에 중국과 대만 영화의 주요 감독들의 영화를 통해 로컬공동체와 로컬리티에 정체성을 부여하는 영화서사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그들의 로컬공동체 서사를 구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허우 샤오시엔, 장예모, 리안, 차이밍량, 장초치, 첸 카이거 등대만과 중국을 대표하는 감독들을 통해서 그들이 어떻게 대안적 로컬공동체의 서사를 구성해 나가는지를 살펴보되, 가족과 국가를 포함하는 공동체 서사가 어떠한 양상을 띠면서 공동체의 연대를 형성하고 또다른 로컬공동체에 대한 개방과 소통을 이루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세계화와 로컬리티의 관계 맥락 속에서 어떤 로컬공동체의 서사가 가장 의미있는 서사를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8-321-G0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