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is Science Reporting Easy to Lead to Failure ?: ANT Analysis of Reporting on ETRI Scientist Hyun-Tak Kim

과학 보도는 왜 실패하기 쉬운가: ETRI 김현탁 박사팀 보도에 대한 ANT 분석

  • Received : 2012.04.30
  • Accepted : 2012.05.3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Science reporting is easier to lead to failure than other news reporting because it needs higher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Actor-Network Theory(ANT), not only research results(artifacts) of scientists but also science articles are hybrid networks. Namely, they are connected by human actors(scientist, reporter, etc.) and nonhuman actors(press releases etc.). When the process of science reporting is examined on the view of ANT, it is the process that scientists' results translate the media via press releases as intermediaries and expand their network to the public. This study aims at making an ANT analysis of how research results of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ETRI) scientist Hyun-Tak Kim were reported by lots of media, focusing on the rhetoric of ETRI's press release. It can reveal the reason for the science reporting's failure and hint at the better science journalism.

과학 보도는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다른 분야의 보도보다 실패하기 쉽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에 따르면 과학자의 연구성과(인공물)뿐 아니라 이를 다루는 과학 기사도 이종적 네트워크로 볼 수 있다. 즉, 과학 기사는 과학자, 홍보담당자, 기자, 독자 같은 인간 행위자뿐 아니라 논문, 보도자료, 가판신문 등 비인간 행위자가 잡종적 동맹을 맺고 있는 것이다. 과학 보도 과정을 ANT의 관점에서 보면, 과학자의 연구성과가 보도자료를 매개자로 삼아 언론, 특히 기자를 번역해 자신의 네트워크를 대중에게까지 확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언론이 2005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김현탁 박사팀의 연구성과를 보도한 과정을 ANT로 분석하되, 보도자료의 수사(레토릭)를 중심으로 해 과학 보도가 실패하기 쉬운 이유를 밝히고, 과학 저널리즘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