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ating Habit Teaching Software for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식생활 지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 연구

  • Received : 2012.10.11
  • Accepted : 2012.11.3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put emphasi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planning and realizing software for the purpose of teaching eating habits. It tried to develop software which constantly applies and practices contents learned from content systems subordinate to practical subjects. It is mainly consisted of 'cooking and eating' among the content systems of the practical subjects in the basic curriculum. To this end, it chose four modules as their final choices, 'eating various foods, cooking happily, setting the table, and washing the dishes.' Media is in CD-ROM Title form. Macromedia Flash and Macromedia Director were used as authoring tools. Program is basically going along centering on small units. And activities in each topic are composed of thinking, investigating, and organizing order. When we applied the softwa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to 3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it had positive effects on eating habits related functions of all participant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기본교육과정 실과.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2). 기본교육과정 실과. 서울:(주)미래엔.
  3. 교육과학기술부(2009). 특수학교 교육과정. 경기도 파주: 창원문화.
  4. 교육과학기술부(2012). 기본교육과정 실과 교사용지도서. 서울:(주)미래엔.
  5. 권봉안.권수현(2011). 영양교사에 의한 영양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22(2), 15-25.
  6. 김자경.정남용(2001).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초등실과교육에서의 학업기술 및 학습전략 교수, 특수교육학연구 36(3), 95-122.
  7. 김정아(2009).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주민(2003). 요리활동이 유아의 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민정(2008). 편식교육과정을 위한 영양교육의 효과,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영숙.이정원.서정숙.이보경.이혜상(2006). 영양교육과 상담. 서울: 교문사.
  11. 박형서(2011).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화보처리방식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3(4), 549.
  12. 서혜식.권현분(2008). 정신장애인의 요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14(2), 101-117.
  13. 소원근.김하균(2012). m-learning의 동기화요인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4(3), 368-377.
  14. 양정혜(2010). 실과교과 관련 방과후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장애 아동의 식생활 태도 변화, 초등교육연구 23(1), 163-182.
  15. 양한라(2000). 영양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의 영양지식 및 식품섭취의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수연(2008). 요리활동을 이용한 또래중재가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시원(2009). 홀리스틱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실과교육의 성찰,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1), 267-286.
  18. 이영숙.김유정(2010).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실과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4), 245-267.
  19. 이윤주.김경미.장경자(2000). 인천시내 초등학교 여학생의 영양교육 효과 분석. 대한영양사회학술지 6(2), 89-96.
  20. 이제화.최성욱(2012).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연구, 재활복지 16(3), 109-132.
  21. 이효신(2007). 응용행동분석. 서울: 학지사.
  22. 정민경(1999).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실시 및 효과 평가,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소영(2001). 대체행동으로서의 요리활동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주장수.문대영(2009). 실과'우리 생활과 전기.전자'단원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2), 199-212.
  25. 진정희.이강자.이윤희(2002). 영양교육이 편식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인천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2(1), 7-14.
  26. 채희태(2009). 특수학교 실과 지도를 위한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실과교육 운영 방안 모색: 현상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중복.지체부자유아연구 52(4), 91-116.
  27. 최지연(2010).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교과서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527-548.
  28. 함승연(2011). 실과(기술.가정) 학습부진학생 학습능력향상에 대한 학교급 및 가족유형별 인식, 수산해양교육연구 23(4), 643-648.
  29. 현동림.김은길.김종훈(2011). 안드로이드 기반사고 공유 마인드맵 애플리케이션 구현,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234-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