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Investigate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n the Education Gap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시 동서교육 격차 지역의 초등학교 학부모의 만족도 및 인식 조사

  • Received : 2012.09.02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n the education gap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gist of the discussion centers on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the schooling, non-schooling. To accomplish this research, we practice the questionaries about the education development in Busan to 234 parents who reside i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 in Busan. The results of surv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broad distinction between the two area about parents' attitude towards children. Second, the results of schooling satisfaction are higher in eastern Busan area. Third, the parents of eastern part also show their satisfaction of schooling support. The results indicate that nation and local government must develop the short and long range plan for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김달효(2007). 능력별 집단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수산해양교육연구 19(3), 390-402.
  2. 김영철(2003). 서울시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박응희.박창언.조영석(2010). 부산광역시 동서교육격차 해소방안 연구. 부산: 부산인적자원개발원.
  4. 박창언(2011). "주5일 수업제 안정적 정착을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구축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 순회토론회 자료집.
  5. 오욱환(2008). 교육격차의 원인에 대한 직시: 학교를 넘어서 가족과 사회로, 교육사회학연구 18(3), 111-133.
  6. 이기범.김하수.정유성.김호기.하연섭.오성배(2006).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연구, 서울: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7. 임선희.김경희(2006). 대전의 동서지역 교육격차 실태와 해소 방안, 교육사회학연구 16(3), 189-210.
  8. 정성수.오세희.김기민(2010). 경남의 평준화지역 일반계 고등학교간 학력격차에 대한 인식 및 해소방안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2(1), 52-66.
  9. 하봉운(2004). 경기도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경기논단 6(4), 61-90.
  10. 하봉운(2005). "지방분권시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3(3), 167-193.
  11. 홍지영(2010). 부산시 지역간 교육불균형 문제와 대책-동.서간 교육격차를 중심으로-, 부산: 부산정책연구자료.
  12. Anynon, J.(2005). Radical possiblities: Public policy, urban education, and a new social movement, New York: Routledge.
  13. Berlinger, D.C.(2006). Our impoverished view of educational research,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949-995.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