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ced on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

한국과 중국의 마을비보숲 비교 - 한국(韓國) 진안(鎭安)과 중국(中國) 청주(靑州)를 사례로-

  • Park, Jae-Ch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Gwan, Dan D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
  • Jung, Kyoung-Soo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 박재철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관단단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 정경숙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2.04.06
  • Accepted : 2012.06.1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comparing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Jinan of Korea and Qingzhou of China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survey about the representative region of both country. The main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study, field study and interview with local residents.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regions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of surveyed data. Which shows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in two regions has so much in common and also has many differences which is related with the local practical lif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area and remained number, concentration degree of Jinan were greater than those of Cheongju. But it was identified that the linear form and location were similar in both regions. Through these identification, it is helpful to establish policy direction of both countries about the complementary forest.

Keywords

References

  1. 고인수, 2006, 경기도 이천 송말 비보숲의 풍속과 증발량 조절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택호, 주경원, 2004, 지니계수를 이용한 한국,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의 수출시장집중도 비교, 한국무역학회지, 29(5), 59-81.
  3. 박노경, 2002,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분석, 한국무역학회, 27(3), 285-304.
  4. 박재철, 1998,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마을 비보숲의 실태에 관한 연구. -전북진안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152-161.
  5. 박재철, 노재현, 2001, 순창지역의 남근형 입석이 세워진 마을의 비보숲에 관한 고찰. -팔왕 , 태촌마을의 비보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9-28.
  6. 박재철, 전영우, 2004, 부안 고사포 비보숲의 바람 조절 기능, 한국임학회지, 93(5), 325-330.
  7. 박재철, 김명진, 김진주, 정완주, 2004, 마을 비보숲 복원에 관한 연구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 두방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3-18.
  8. 박재철, 2007, 마을숲의 개념과 사례, 계명대학교 한국학논집, 33, 233-263.
  9. 박재철, 이상훈, 2007, 진안의 마을숲, 진안문화원.
  10. 박재철, 한상엽, 2009, 마을 비보숲 모니터링 -진안 서촌 마을 비보숲과 원연장 마을 비보숲을 사례로-, 27(3), 9-17.
  11. 윤재일, 2010, 傳統마을 裨補 숲의 風水的 意味에 관한 硏究 : (慶尙南道 固城郡의 마을숲을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도원, 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사이언스북스.
  13. 최재웅 , 김동엽 , 김미희, 2009, 농어촌마을 당산 숲, 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14. 한상열, 2006,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탐방집중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5(4), 478.
  15. 黎建力, 方卓林, 陈传国, 康敏明, 陈红跃, 2001, 佛山市风水林树种组成调查研, 广东林业科技.
  16. 关传友, 2002, 中国水土保持科学.
  17. 祝功武, 2007, 整理村落与"风水林" 建设绿色新农村, 中国城市林业.
  18. 古德全, 古炎坤, 2009, 梅州客家村落居民, 风水林及其文化, 华南农林大学.
  19. 成俊, 2009, 岭南村落风水林研究进展, 山东大学.
  20. Pichard T. T. Forman 저, 1995, 홍선기, 김동엽 역, 2000, 지역 및 경관생태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