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n Stability of Reinforced Earth Wall using Geosynthetic Strip with Rounded Band Anchor

띠형 섬유보강재가 적용된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평가

  • Lee, Kwang-Wu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Cho, Sam-Deok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Han, Jung-Geun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rban Design and Study, Chung-Ang Univ.) ;
  • Hong, Ki-Kwon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rban Design and Study, Chung-Ang Univ.)
  • 이광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 조삼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 한중근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홍기권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2.08.30
  • Accepted : 2012.09.2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stability evaluation of reinforced earth wall using geosynthetic strip based on field test. The wall facing, which is applied in field, is able to present excellent scenery, and the reinforcement has improvement effect of pullout resistance based on rounded band anchor. The measurement is conducted according to construction elapsed time of structure for earth pressure, horizontal displacement of wall facing and reinforcement strain in field test.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measured earth pressure is less than theoretical earth pressure due to dispersion effect of earth pressure by geosynthetic strip.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wall facing is also satisfied a empirical criteria. The measured strain of reinforcement had nearly no effect on stability of the reinforced earth wall. Therefore, the geosynthetic strip with rounded band anchor can be applied in the reinforced earth wall, and the reinforced earth wall with geosynthetic strip can be commonly used in field because it has a structural stability.

본 연구에서는 현장시험 및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인발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띠형 섬유보강재가 적용된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및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현장에 적용된 전면벽체는 경관연출이 가능하며, 보강재는 수동저항부에 의한 인발저항 향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현장시험은 토압, 전면벽체의 수평변위 및 보강재 인장변형률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 결과, 전면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적용된 보강재의 토압분산 효과에 기인하여 이론토압에 비하여 낮은 토압이 발생하였으며, 전면벽체의 수평변위는 경험적 변위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장변형률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된 수동저항부를 고려한 띠형 섬유보강재는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적용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적용한 블록식 보강토옹벽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공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광우, 김주형, 조삼덕, 한중근, 윤원일, 홍기권 (2010), "띠형 섬유보강재의 장기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9권, 제4호, pp.75-84.
  2. 이광우, 조삼덕, 한중근, 홍기권 (2009), "대형인발시험을 이용한 수동지지저항 부재가 설치된 강재스트립 보강재의 인발저항 평가",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8권, 제4호, pp.1-8.
  3. 이광우, 조삼덕, 한중근, 홍기권 (2011a), "수동저항부가 형성된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발저항 특성",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10권, 제3호, pp.43-51.
  4. 이광우, 조삼덕, 한중근, 홍기권 (2011b), "현장시험을 이용한 강재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평가",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10권, 제4호, pp.37-47.
  5. 이광우, 조삼덕, 한중근, 홍기권 (2012), "띠형 섬유보강재의 폭과 설치간격에 따른 변형률 분포 및 인발강도 특성 평가",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11권, 제2호, pp.39-47.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8), "지반구조물의 설계.시공상의 문제점 및 대책방안 Workshop", KICT 제10회 건설기술 연구발표회.
  7. 한국토목섬유학회 (2006), 토목섬유의 특성 및 활용기법, 구미서관.
  8. 한중근, 윤원일, 홍기권, 이광우, 조삼덕 (2011), "띠형 섬유 보강재의 변형률 분포 특성을 이용한 인발거동 평가", 2011 한국토목섬유학회 봄 학술발표회, pp.87-96.
  9. 한중근, 윤원일, 홍기권, 홍원표, 이광우, 조삼덕 (2010), "인발시험과 이론식을 이용한 강재스트립 보강재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지지저항 특성 평가",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제9권, 제2호, pp.33-40.
  10. 홍기권 (2011), 앵커지지효과를 고려한 스트립 보강재의 인발저항 평가 및 설계법,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1. Chen, H.-T., Hung, W.-Y., Chang, C.-C., Chen, Y.-J. and Lee, C.-J. (2007), "Centrifuge modeling test of a geotextile reinforced wall with a very wet clayey backfill",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Vol.25, No.6, pp.346-359. https://doi.org/10.1016/j.geotexmem.2007.01.003
  12. Elias, V., Christopher, B. R. and Berg, R. R. (2001),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nd reinforced soil slopes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Publication No. FHWA-NHI-00-043,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USA.
  13. Won, M.-S. and Kim, Y.-S. (2007), "Internal deformation behavior of geosynthetic-reinforced soil walls",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Vol.25, No.6, pp.10-22. https://doi.org/10.1016/j.geotexmem.2006.10.001
  14. Yoo, C. and Kim, S. B. (2008), "Performance of a two-tier geosynthetic 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 under a surcharge load: Full-scale load test and 3D finite element analysis",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Vol.26, No.6, pp.460-472. https://doi.org/10.1016/j.geotexmem.2008.05.008
  15. Tatsuoka, F., Hirakawa, D., Nojiri, M., Aizawa, H., Nishikiori, H., Soma, R., Tateyama, M. and Watanabe, K. (2009), "A new type of integral bridge comprising geosynthetic-reinforced soil walls", Geosynthetics International, Vol.16, No.4, pp. 301-326. https://doi.org/10.1680/gein.2009.16.4.301

Cited by

  1.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Strip-type Reinforcement based on Extensibility vol.11, pp.4, 2012, https://doi.org/10.12814/jkgss.2012.11.4.037
  2. 고속도로 도로부에 시공된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높이별 안전율과 경제성 검토 vol.19, pp.5,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8.19.5.54
  3. Behaviour Analysis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Laboratory Scale Test vol.10, pp.3, 2020, https://doi.org/10.3390/app100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