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um Division Effect of Consolidation Settlement Formula Using Compression Index

압축지수를 이용한 압밀침하량 계산식의 압밀층 두께 분할효과

  • Kim, Khi-Woong (College of Urban Science, School of Urban Construction Engrg., Univ. of Incheon)
  • 김기웅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도시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2.04.23
  • Accepted : 2012.05.1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final consolidation settlement is important factor in soft ground improvement because of settlement management and completion time. The compression index, which is slope of primary consolidation curve, is commonly used for the calculation of final consolidation settlement in clay layer. The existing final consolidation settlement is calculated in total consolidation layer that is assumed as one layer. This paper describes analysis result of the acquired settlement, when the consolidation layer is divided as several layer.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the divided layer and then it is converged. This result was unrelated to surcharge load. The division effect of layer is very high when the surcharge load is less than the consolidation layer thickness. The division effect of layer is 1.2 to 1.4 in the general surcharge load, and this value can be apply as safety factor in the calculation of final consolidation settlement.

연약지반 개량공사에서 최종압밀침하량은 침하관리와 준공시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설계 시 점토층의 최종압밀침하량의 산정은 압축지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압축지수는 압밀시험으로 얻어진 하중-침하 관계를 반대수좌표에 나타냈을 때 처녀압축곡선의 기울기이다. 종래에는 압밀층 전체를 한 개의 층으로 보고 최종압밀침하량을 산정해 왔으나, 압밀층을 여러 개의 층으로 분할했을 때 얻어지는 침하량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할층 수와 상재하중의 크기가 압밀침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할층 수가 증가할수록 침하량은 증가하여 일정한 값에 수렴하며 이러한 양상은 상재하중의 크기와 무관하게 나타났다. 상재하중이 압밀층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때는 층분할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보편적인 성토하중의 경우 층분할효과는 1.2-1.4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 값은 최종압밀침하량 산정 시 안전율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웅, 문홍득 (2008), 토질역학, 구미서관.
  2. Das, B. M. (1998), Principle of geotechnical engineeing, 4th edition, PWS Publishing Company.
  3. Terzaghi, K. (1923), Dei Berechnug Der Darchlassigkeitsziffer des Tones aus dem Verlauf der Hydrodynamicschen pannungser-scheinungen, Akademic der Wissenchafton In Wein, Sitzungsberichte, Mathematisch-Naturwissenschaftlichs, Klasse, Part IIa, Vol.139, No.3/4, pp.125-138.
  4. Terzaghi, K., Peck, R. B., and Mesri, G. (1996), Soil Mechinicas in Engineering Practice, 3rd Edition, John Wiley&Sons, Inc. pp.106-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