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Self-Governing Committee in Local Administrations from a Community Design Perspective - Based on a Content Analysis of Official Minutes of the Seong-san 1 Dong Case -

마을만들기의 관점에서 본 주민자치위원회의 특성 분석 - 서울시 마포구 성산1동 주민자치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 안현찬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도시설계학 전공) ;
  • 박소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Received : 2011.06.02
  • Published : 2012.02.25

Abstract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sidents' organizations in community design practices,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self-governing committee in local administration. The goal is to examine the roles and potentialities of the committee and to draw its implications for promoting community design.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is paper applied contents analysis method on 317 agendas from official minutes of the residents' self-governing committee in Seong-san 1 dong,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case of community design in Korea. Unlike former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supporting activities related to residents' welfare service took the largest portion of the committee's agenda, and the committee had obvious limitations to manage or control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committee's function, author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government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s a consequence, the mechanism of committee's oper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ical combinations. The committee delivers or supports what upper governments demand, mostly associated with welfare issues. However, it is more likely to deliberate or decide, especially when it is related to cultural/recreational or self-governing agenda initiated by lower governments. As such connection reflects the structural system of local administration, it might be generalized as a common framework to understand and examine residents' self-governing committees, contributing to fulfill their potential as effective institutions for community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성, 신원득,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42(2), 2004
  2. 김현정, 동 기능전환에 따른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1
  3. 목정훈, 박종현, 마을만들기 운영사례 비교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경도 세타가야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9(4), 2008
  4. 박세훈, 천현숙, 전성제, 마을만들기 참여 거버넌스의 비교분석 : 제도주의적 접근, 국토계획, 44(3), 2009
  5. 박영미, 김경명, 지방공공복지 전달체계 개편과정에 관한 분석, 지방정부연구, 11(4), 2007
  6. 박희선, 주민자치센터의 위상과 기능, 도시와 빈곤, 2000
  7. 배윤수,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있어 주민자치위원회의 연결망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 7호, 2001
  8. 신중진, 신효진,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주민의 역할변화에 따른 지원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10), 2010
  9. 심익섭, 주민자치센터의 운영활성화 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2), 2002
  10. 심한별, 박소현, 문화재 및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관련 갈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11), 2010
  11. 이소영, 꿈꾸는 상인들의 마을만들기-부평에서 길을 찾다, R&C, 2009
  12. 조승연, 동사무소 기능전환에 따른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2
  13. 최근열, 주민자치센터의 활성화 방안 : 대구광역시 북구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0(2), 2002
  14. 최근열, 주민자치센터의 평가와 정책과제 : 울산 광역시를 사례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3), 2006
  15. 황희연, 전원식, 박원규, 주민참여형 도시만들기 사례의 사업 주제별 유형과 특성 분석, 국토계획, 43(6), 2008
  16. 마포구, 서울시 마포구 자치회관 설치 및 운영 조례
  17. 마포구, "Happy-eye"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추진계획, 2008
  18. 행정자치부, 읍면동 사무소의 기능전환 기본계획, 1999
  19. 행정자치부, 1․2단계 읍면동 기능전환 보완지침, 2003
  20. E. Babbie, 고성호 외 옮김, 사회조사방법론, 11판, Ceng age learning, 2007
  21. F. J. Smith, R. T. Hester, Community Goal Setting, Hutchison Ross Publishing Company, 1982
  22. H. Barton, M. Grant, R. Guise, Shaping Neighbour hood, 2ed, Spon press, 2004
  23. N. Wates, The Community Planning Handbook, Earth scan, 2000
  24. P. Healey, Collaborative Planning, Palgrave,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