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eaching Method of Improving Practice Capacity by means of Layers of Modeling

단계적 모델링(Layers of Modeling)을 통한 실습역량 증진 교수.학습법

  • Park, Hye-Sook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of Shingu College)
  • Received : 2012.03.19
  • Accepted : 2012.05.25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Let me introduce a teaching method to improve practice capacity in dental laboratary work. I applied theories of layers of modeling and reflection constituting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peer tutoring to my class. At internet uploading a file showing a practice procedure a week before the class of a course, I let students preview it. During the class I demonstrated the practice procedure in front of students. A superior student and an inferior student paired according to the previous practice grade and a feedback between a peer tutor and a peer tutee was activated. Late in the class, a student self-evaluated his own practice result and had a check of a professor. Finally he compared his own practice result with that in the file uploaded at internet and reflected. This teaching method led to improvement in students' satisfaction and efficiency of learning.

치기공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보철 및 교정 치과기공물 제작 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실습과목은 기능적인 영역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학습자의 능력과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수 학습모형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교수 1인이 다수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실습을 진행해 가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교수 학습법을 개발하였다. 시각적 효과에 익숙해져 있는 신세대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복학습이 가능한 동영상을 활용한 온라인 실습교육과 오프라인 실습교육을 혼합한 단계적 모델링(Layers of Modeling)의 교수 학습모형을 시도하였다. 실습과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실습 일 주일 전에 e-클래스에 올려 예습하고 오도록 하고, 수업시간 교수자가 직접 실습과정을 시연하였다. 또한 전 주의 실기성적에 따라 실습실 내 학생들의 좌석배정을 하여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을 짝지어 앉게 하여 개별실습 단계에서 동료지도법이 적용되도록 하여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에게 즉각적이고 개별적인 피드백이 자주 제공되도록 하였다. 수업 중에는 실습지침서에 실습결과물에 대한 자가평가를 하여 교수자의 점검을 받도록 하고 수업 후에는 동영상에서의 실습결과물과 비교, 분석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교수 학습모형은 학습자간 학업성취도의 격차를 좁히는 문제에 있어 해결의 가능성을 보여주어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은, 박혜숙, 교합학개론, 제2판, 서울, 2006, 지성출판사, pp. 11-21
  2. Felder RM, Soloman BA. Index of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2001,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Online at:http://www2.ncsu.edu/unity/lockers/users/f/felder/public/ILSdir/ILS-a.htm
  3. Bower GH, Hilliard ER. Theories of Learning, 5th ed., Englewood Cliffs, NJ, 1981, Prentice-Hall.
  4. Carroll WR, Bandura A. Representational guidance of action production in observational learning: A causal analysis. Journal of Motor Behavior, 1990;22:85-97. https://doi.org/10.1080/00222895.1990.10735503
  5. Magill RA. Motor learning: Concepts and Application, 3rd Eds., Dubuque Iowa, 1989, Wm. C. Brown Publishers.
  6. Schunk DH, Hanson AR. Peer models: Influen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85;77:313-322. https://doi.org/10.1037/0022-0663.77.3.313
  7. 송원구, 김은진. 인지적 도제이론을 적용한 수업설계 - "광고음악"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7;23(1):133-154.
  8. 조미헌, 이용학. 인지적 도제방법을 반영한 교수설계의 기본 방향. 교육공학 연구, 1994;9(1):147-161.
  9. Collins A, Brown JS, Newman SE. Cognitive Apprenticeship: Teaching the Crafts of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In L. B. Resnick(Ed.).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Essay in Honor of Robert Glaser. Hillsdale, NJ, 1989, Lawrence Erlbaum, pp.453-494
  10. 손주민, 김판욱. 공업계 고등학교 실기교육에서 동료지도법을 적용한 협동학습 수업 전략. 대한 공업교육학회지, 2006;31(1):23-45.
  11. 박재득, 김민기. 급우관계에 의한 짝 구성 동료 교수법이 컴퓨터 실기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06;9(6):1-10.
  12. 송선희. 인지수준에 따른 집단구성이 동료협동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01;15(4):237-252.
  13. 이무근, 김재식, 김판욱, 실기교육 방법론, 2001, 교육과학사
  14. Mayer RE, Moreno R. Nine ways to reduce cognitive load in multimedia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003;38:43-5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801_6
  15. 이윤경, 김주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웹기반 학습과 동료 교수법의 혼합 모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08;11(6):11-27.
  16. Rink J. Teaching Physical Education for Learning, 4th ed., Debuque, IA, 2002, McGraw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