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주현(1998), "가야 문화사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
- 변성태/김판채(2009), "가야 유물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한국공예농촌, 12(1), p.83.
- 문창로(2002), "가야사 연구의 흐름과 교과서서술 검토", 북악사론, 9, p.35.
- 김태식(2006), "삼국시대, 사국시대", 역사비평, 통권(74), p.291.
- 김태식(2002),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p.124.
- 김태식, 양기석, 강종훈, 이동희, 조효식(2008),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p.45.
- 안일훈(2001), "가야지역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논문집, 10, p.5.
- 김태식(2009), "가야의 문화와 역사", 시안, 12(1), p.21.
- 김태식(2009), "가야의 문화와 역사", 시안, 12(1), p.15.
- 백승충(2008), "가야 문화권의 성립과 그 의미", 영남학, 13, p.101.
- 백승충(2008), "가야 문화권의 성립과 그 의미", 영남학, 13, pp.61-109.
- 신경철(2003), "가야, 가야 문화", 대한용접학회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1, pp.3-10.
- 김태식(2009), "가야의 문화와 역사", 시안, 12(1), pp.12-24.
- 노중국(2006), "대가야 문화의 특징", 대가야학술총서, 3, pp.23-45.
- 권주현(1998), "가야 문화사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86.
- 권주현(1998), "가야 문화사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88-189.
- 김연학(1979), "가야토기", 역사와 세계, 제 3집, p.173.
- 송계현(2002), "가야문화와 복식 유물", 한복문화학회, p.9.
- 대성동고분박물관(편)(2005), 금관가야의 대외교류, pp.61-67.
- http://www.gayasa.net, "철의 왕국 가야 공식홈페이지", 자료검색일: 2010.07.20.
- 이난영(2000),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 출판부, p.106.
- 김종식, 김판채(2003), "삼국시대 이식의 조형성 연구", 한국농촌공예, 6(2), pp.67-68.
- 이정은(2007), "가야 이식의 조형성 연구", 기초 조형학 연구, 8(4), pp.523-529.
- 이인숙, op.cit., p.55.
- 김문자(1997), "가야지역 출토 장신구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 9, p.192.
- "철의 왕국 가야 공식홈페이지", 자료검색일 2010, 8, 10, 자료출처 http://www.gayasa.net
- 안일훈(2001), "가야지역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논문집, 10, pp.9-10.
- "호암미술관 공식홈페이지", 자료검색일 2010, 8, 10, 자료출처 http://hoam.samsung-foundation.org
- 대성동고분박물관(편)(2003), 대성동 고분박물관 전시 안내 도록, p.60.
- 안일훈(2001), "가야지역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논문집, 10, p.11.
- 송계현(2000), "가야의 금동장식 갑주에 대하여", 인문연구논집, 제 5집, 4, pp.297-318.
- 국립김해박물관 (통천문화사, 2008), p.206.
- 하영조(2007), "한국의 고대 삼국시대의 황금장신구조형에 대한 연구", 역사와 사회 37, p.72.
- 대성동고분박물관(편)(2003), 대성동 고분박물관 전시 안내 도록, p.52.
- 류기정(1999), "가야 이형토기의 조형적 특성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초록, pp.1-2.
- 대성동고분박물관(편)(2003), 대성동 고분박물관 전시 안내 도록, p.66.
- 박경희(2006),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토기의 심미의식에 관한 연구", 동양예술, 11, p.72.
- "문화콘텐츠 한국대표 산업 육성", (2004. 11. 29),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08.01. 자료 출처: http://www.yonhapnews.co.kr
- 현선희, 배수정(2007), "패션문화상품 한국전통문양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pp.1255-1256.
- 정온슬기, 정성혜(2001),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 p.203.
-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2005), "한국 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 젼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7), p.971.
- 정경희(2009),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95.
- 김선영(2011), "여수세계박람회와 지역문화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 61(1), p.59.
- 정온슬기, 정성혜(2001),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 p.190.
- 남재경(2004),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조형예술학연구, 6, pp.249-266.
- 최승연, 정경희, 이미숙, 신윤숙(2006),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0), pp.91-100.
- 김미영, 김경희(2008), "길상문양을 응용한 자카드 직물 패션상품 개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4), pp.722-734.
- 김선영(2009), "광양매화축제를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복식, 60(4), pp.18-29.
- 김선영(2011), "여수세계박람회와 지역문화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 61(1), pp.58-68.
- 정은주, 서지영, 임지영(2010), "단청문양을 활용한 실크자카드 패션 제품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4), pp.485-494
- 장민정(2010),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I", 한복문화, 13(3), pp.169-181
- 이혜원, 차혜인, 장영선, 김민자(2011), "현대패션에 나타난 수묵 기법과 이를 활용한 한국적 패션문화상품 개발", 복식, 61(7), pp.125-134.
피인용 문헌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mor Design for Children's Experience with Gaya Armor in Museums vol.18, pp.5, 2014, https://doi.org/10.12940/jfb.2014.18.5.56
- A Case Study on Design Development for Promotional Fashion Product Assigned to the Corporate Image vol.17, pp.4,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3.17.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