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rovement in Level of Facility Security Operation

시설보안 운영수준 향상방안

  • Received : 2012.08.10
  • Accepted : 2012.09.0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mprovement of facility secur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facility security operation level.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of some facilitie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security personnels were deployed in the facilities, the level of security personnel oper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job education training level was relatively proper, that is relevant to the result that show the level of service mind and the working mind of security personnel were proper, also relevant to the relatively good work shift system. Third, although situation room was operated well, the level of restricted area set-up and access control of visitor were low, and the level of article inspection and vehicle access control were very low. Forth, the level of security manual application that include detailed security method and procedure was proper. But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manual application was lower than security manual application, that show preparation for fire and negligent-accident is passive.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y security, the high level part and low level part in the survey result could be merged. For example, we could specify factors that show low level in the survey such as security personnel operation, access control of visitor and vehicle, article inspection,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in the security manual and promote education circumstance that show high level.

본 연구는 시설보안 운영수준을 평가하여 시설보안 향상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보안업무가 이루어지는 특정시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안인력은 시설보안업무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요소인데, 조사대상 시설에 보안인력이 배치되어 있지만 시설의 특성에 맞게 보안인력을 적절히 운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안인력의 직무교육 훈련 수준은 비교적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근무교대방식과 시설에 상주하는 임직원에 대한 서비스마인드 수준, 보안인력의 근무의지 수준이 적절하게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보안상황실 운영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제구역 설정과 출입자 통제 수준, 물품에 대한 통제 및 검색 수준, 차량통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보안업무를 위해 참고할 수 있는 보안업무매뉴얼의 활용수준은 보안계획서의 활용수준과 사고예방 및 대응매뉴얼의 활용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사결과에서 수준이 낮게 평가된 보안인력 운영과 출입통제, 물품검색, 차량통제 및 주차관리, 화재 및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한 조치 등에 관한 내용을 활용도가 높게 나타난 보안업무매뉴얼에 세부적으로 명시하여 수준이 높게 나타난 교육 훈련 수준을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