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Cases of Voiding Problem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한방 치료로 호전된 배뇨(排尿) 장애(障碍) 환자 치험 2례

  • Jang, Myung-Woong (Departmen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
  • Kwon, Young-Ju (Departmen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
  • Jo, Woo-Keun (Departmen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
  • Jung, Seung-Hyun (Departmen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
  • Bae, Hyo-Sang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
  • Lim, Seong-Woo (Departmen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
  • Lee, Won-Chul (Departmen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 장명웅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내과) ;
  • 권영주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내과) ;
  • 조우근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내과) ;
  • 정승현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내과) ;
  • 배효상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사상체질과) ;
  • 임성우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내과) ;
  • 이원철 (상지대학교 한방병원 한방내과)
  • Received : 2012.02.01
  • Accepted : 2012.03.20
  • Published : 2012.04.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acupoints Baliao (BL31 Shangliao, BL32 Ciliao, BL33 Zhongliao, BL34 Xialiao) on patients with voiding problem. Neurogenic Bladder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impairment of urinary reservoir or emptying. The first case was a patient with urinary emptying impairment. He was diagnosed with areflexic neurogenic bladder, and was managed with suprapubic cystostomy. After starting of electroacupuncture on Baliao, residual urine volume was gradually decreased, at last cystostomy could be removed. The second case was a patient with urinary reservoir impairment. She complained symptoms of urinary frequency, nocturia due to overactive bladder. After starting of electroacupuncture on Baliao, urination frequenc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e consider electroacupuncture on Baliao may have a useful effect on voiding problem, both urinary reservoir and emptying impairment.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비뇨기과학회. 비뇨기과학. 서울, 고려의학, pp 357-374, 2001.
  2. 이규성. 신경인성 배뇨장애. 2002년도 대한비뇨기과학회 추계 전공의 연수교육. pp 33-56, 2002.
  3. 두호경. 동의신계학.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pp 173-203, 1992.
  4. 민경동, 김철중. 요실금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4(1):225-237, 1995.
  5. 임정태, 박주영, 변형식, 윤승규, 최원우, 박성욱, 정우상, 문상관, 박정미,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뇌교경색으로 발생한 배뇨곤란 환자의 치골상부 방광루를 제거한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spr(1):214-221, 2009.
  6. 심대무, 김태균, 송하헌, 하대호, 김경진. 흉요추부 골절에 있어서 신경 손상과 회복. 대한척추외과학회지 8(3):413-418, 2001.
  7. 김윤태, 김준기, 이진아. 신경인성 방광 형태에 따른 음부신 경체성감각유발전위와 구해면체 반사. 대한재활의학회지 27(1):70-74, 2003.
  8. Abrams, P., Blaivas, J.G., Stanton, S.L., Anderson, J.T.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Int Urogynecol Pelvic Floor Dysfunct. 1: 45-46.
  9. 정재용, 노충희. 신경인성 방광에 대한 Oxibutinine chloride의 국소요법. 인제의학. 13(1):13-72, 1992.
  10. 이일영. 척수 손상의 재활(II) : 신경인성 방광 관리. 대한재활의학회지 23(5):887-891, 1999.
  11. Barrett, D.M., Wein, A.J. Controversies in Neuro-Urology. Churchill Livingstone. 1984. Khanna, O.P. Disorders of micturition ; Neuropharmacologic basis and results of drug therapy. Urology. 8: 316, 1976. https://doi.org/10.1016/0090-4295(76)90483-0
  12. 전국 의과대학 교수. 오늘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한우리. pp 992-993, 1999.
  13. 강석봉. 배뇨곤란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서의학. 19(1):34-45, 1994.
  14. 두호경. 동의신계학. 서울:동양의학연구원. pp 85-97, 101, 1993.
  15. 정소영, 김동일. 과민성 방광에 대한 임상 결과 분석 : 후향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2(3):169-184, 2009.
  16. Abrams, P., et al. The standardis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Neurourol Urodyn. 21(2):167-178, 2002. https://doi.org/10.1002/nau.10052
  17. 이경성, 이용석. 과민성방광. 대한비뇨기과학회지 48(12):1191-1208, 2007.
  18. 이재환, 한동엽, 정희종, 임정식. 야간뇨를 가지고 있는 여성 과민성 방광 환자에서 Amitryptiline의 효과. 대한비뇨기과학회지 49(8):733-738, 2008.
  19. 조강준. 과민성 방광 여성에서 항콜린제 치료 후 요 내 Nerve growth factor와 Prostaglandin E2의 변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20. 조국령, 김남욱, 정용연, 강경남, 이영헌, 송병용, 전상윤, 석, 김기주. 폐렴으로 동반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spr(1):180-186, 2008.
  21.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 中침구총론. 서울:집문당. pp 364-371, 2008.
  22. 서동민, 강성길. Pub Med 검색을 통한 電鍼의 最新硏究에 관한 考察: 임상 논문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19(3):168-179, 2002.
  23. 윤정안, 유윤조, 김강산, 김경식, 김홍훈, 김대중, 조남근. 電鍼의 parameters에 대한 實驗적 연구 : 자극시간, 시술기간, 자극깊이를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2(1):145-153, 2005.
  24. 이은찬, 박수경, 곽승혁, 우수경, 김영석, 조기호, 문상관, 정우상, 박주영. 뇌졸중으로 인한 배뇨장애에 대한 한방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fal(1):261-266, 2011.
  25. 이혜영, 민경윤, 임주혁, 조인영, 김슬지, 박영주, 류재환, 이범준. 신경인성 방광 환자의 야간빈뇨 전침 치료 3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161-167, 2008.
  26. 변형식, 박주영, 임정태, 김미영, 김창현, 정우상, 문상관, 조기호, 김영석. 다계통 위축증 환자의 전침 및 뜸 치료에 대한 배뇨장애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fal(1):196-203, 2008.
  27. 이윤진, 손영진, 최지혜, 김래희, 고하늘, 이수현. 팔료혈 전침 치료로 호전된 뇌졸중 동반 소변불리 환자 4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fal(1):424-434, 2011.
  28. 김경태, 고영진, 김은정, 류성룡, 우현수, 김창환. 차료혈 전침의 기능성 배뇨장애 환자에 대한 임상적 관찰 : 배뇨일지와 요속검사를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3(4):101-113, 2006.
  29. 박성환, 한수련, 강지석, 안영민, 안세영, 이혜정, 이병철. 전침 및 봉약침치료를 시술한 양성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임상 증상개선에 대한 후향적 단면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1(3):437-447, 2010.
  30. 오주영, 장규태, 김장현. 중극․관원 혈위를 이용한 전침 치료 야뇨 환아 3례.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1):103-115, 2005.
  31. 성원영, 김락형. 야뇨증에 대한 전침치료 동향 (1994-2010년 중국 임상 논문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1(4):69-78, 2010.
  32. 이준하, 김효신, 이지열. 여성 배뇨장애의 특징과 알파차단제의 효과. 대한비뇨기과학회지 47(12):1327-1333, 2006.
  33. M. Stohrer, D. Castro-Diaz, E. Chartier-Kastler, G. Kramer, A. Mattiasson, J.J. Wyndaele. Guidelines on neurogenic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pp 1-40, 2003.
  34.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3판. 서울, 군자출판사. pp 429-451, 2008.
  35. 최지숙, 김경요. 소양인 비수한표한병론의 병증 및 약리에 대한 연구. 사상의학회지 10(2):61-67, 1998.
  36. 이정찬. 신 사상의학론II. 서울, 목과토. pp 178-180, 241-249, 2003.
  37. 이제마. 동의수세보원. 서울, 대성문화사. p 37, 1998.
  38. 황민우, 고병희. 소음인 병리론에 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1(2):27-41, 2009.
  39. 안광현, 김기현, 이윤호. 침구치료를 위주로 시행한 복합치료가 특발성 신경인성 방광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19(6):247-255,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