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orrelation between Voice and Health Condition in the Sasang Constitution

사상 체질별 음성과 건강 수준 관련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유현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
  • 조태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2.03.13
  • Accepted : 2012.04.17
  • Published : 2012.04.25

Abstract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voice to study the validity and value of voice diagnosi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voices, Health index questionnaires (Short form 36, Psychological Well Being Index) and Sasang Constitution informations on 197 males at the age of twenties. Pitch, jitter, shimmer variables were analyzed b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itch, jitter, shimmer and health questionnaire score in total group regardless of Sasang Constitution. However, We found tendency of correlation between shimmer variables and health questionnaire scores in Taeeumin and Soyangin. In Soeumin and Soyangin, zitter and pitch variables were found to be slightly correlated with health questionnaire scores. Our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voice might be related with both health condition and Sasang Constitution. Our finding may motivate research activities towards diverse clinical applications of voice diagnosis and studies of voice characteristics in the Sasang constitution.

Keywords

References

  1. 이봉교, 김태희, 박영배. 한방진단학. 서울, 성보사, p 109-124, 2004.
  2. 백유상. 음성과 오장의 관계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9(2):97-107, 2006.
  3. Chiu, C.C., Chang, H.H., Yang, C.H. Objective auscultation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al diagnosis using novel acoustic parameters.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62: 99-107, 2000. https://doi.org/10.1016/S0169-2607(00)00055-9
  4. Chiu, C.C., Yang, M.T., Lin, C.S. Using fractal dimension analysis on objective auscul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al diagnosis. J. Med. Biol. Eng. 22: 219-225, 2002.
  5. Carole T. Ferrand. (한지연, 최양규 역) 언어임상을 위한 음성 과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55-314, 2007.
  6. 이의주, 송광빈, 최환수, 유정희, 곽창규, 손은혜, 고병희. 음성분석에 의한 체질진단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6(1):93-102, 2005.
  7. 박성진, 김달래. Harmonics(배음)와 Formant Bandwidth(포먼트 폭)를 이용한 음성특성과 사상체질간의 상관성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6(1):61-73, 2004.
  8. 최재완, 송학수, 한동윤, 조성언, 왕향란, 전종원, 유준상, 김달래. 사상체질음성분석기(PSSC)를 통한 한국인 성인남성의 체질별 음향특성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8(3):64-74, 2006.
  9. 이재철, 이유정, 김재욱, 김상길, 강남식, 김종열, 김상혁. 사상체질별 건강수준에 따른 맥상, 안면, 피부, 음성의 물리량 도출을 위한 문헌고찰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5(4): 755-758, 2011.
  10. 남봉현, 이승욱. 건강수준 측정도구 SF-36의 타당성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8(2):3-24, 2003.
  11. 이채용, 이종영.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방의학회지 29(2):255-64, 1996.
  12. 최경주, 최양식, 차재훈, 황민우, 이수경, 고병희, 송일병. 개정된 사상체질분류검사지 II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8(1):62-74, 2006.
  13.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p165-172, 2005.
  14. 양승현, 김달래. 성문과 사상체질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8(2):191-202, 1996.
  15. 박희관, 이종화. 이제마의 사상체질과 융의 심리학적 유형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0(2):41-50, 1998.
  16. 김정호, 송정모. 사상의학장부이론의 특징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16(1):20-36,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