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수학 4-1. 서울: 두산동아.
-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 (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307-323.
- 김경희․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정송 (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 -TIMSS 2007 결과보고서(연구보고 RRE 2008-3-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경희․김수진․김미영․김선희․강민경․박효희․정송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연구보고 RRE 2009-7-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민경․이지영․홍지연․김은경 (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 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1-21.
- 김선희․김기연 (2004).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포함된 추론의 유형 및 역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 수학>, 6(2), 283-299.
- 김성도 (1997). 기호와 추론-퍼스의 가추법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편). 삶과 기호, 351-379. 서울: 문학과 지성사
- 김은혜․박만구 (2011). 수학 영재교육 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 해결 전략 및 행동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9-38.
- 류시경․박종석 (2006).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65-774.
- 박경미․김동원 (2011).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1), 89-102.
- 방승진․이상원․황동주 (2002). 초등학교 수학 문제 해결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4, 1-25.
- 이재돈․김호중 (2006). 수준별 이동식 수업이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1), 71-97.
- 전은미 (2002). 아동의 수학 문장제 이해 방법과 문제 해결 능력 사이의 관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수윤․김진호 (2011).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초등학교 3학년 나눗셈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4(2), 165-185.
- 조지민․김수진․이상하․김미영․옥현진․임해미․박연복․이민희․한희진․손수경 (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연구(PISA/TIMSS): TIMSS 2011 본검 사 시행보고서(연구보고 RRE 2011-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지재근․오세열 (2000). 문장제에 대한 이해 정도가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중학교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1), 189-200.
- 차영이 (2006). 문장제 이해를 강조한 발문이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lice, F. A., & Shirel, Y. F. (1999). Mathematical reasoning during small group problem solving, In NCTM,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pp.115-126). Reston, VA: Author.
- Bergqvist, T., Lithner, J., & Sumpter, L. (2008). Upper secondary students' task reaso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9(1), 1-12. https://doi.org/10.1080/00207390701464675
- Ge, X., & Land, S. M. (2004).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affolding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process using question prompts and peer interac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2), 5-22. https://doi.org/10.1007/BF02504836
- Hong, N. S.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multimedia simul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https://doi.org/10.1007/BF02299613
- Kintsch, N., & Greeno, J. G. (1985). Understanding and solving word arithmetic problem. Psychological Review, 92(1), 109-129 https://doi.org/10.1037/0033-295X.92.1.109
- Lithner, J. (2000). Mathematical reasoning in task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1, 165-190. https://doi.org/10.1023/A:1003956417456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2nd Ed).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우정호 역(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수학적 사고방법. 서울:교우사.
- Voss, J. F., & Post, T. A. (1988). On the solving of ill-structured problems. In M. T. H. Chi, R. Glaser & M. J. Farr (Eds.), The nature of expertise (pp. 261-285). Hillsdale, NJ: Erlbaum.
Cited by
-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al Reasoning through Topic Modeling vol.30, pp.4, 2012, https://doi.org/10.29275/jerm.2020.11.30.4.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