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4th Graders'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에서 나타난 해결 과정 및 추론 분석

  • Received : 2012.02.03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ill-structured problem to help the 4th graders'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It appears that children with good understanding of problem situation tend to accept the situation as itself rather than just as texts and produce various results with extraction of meaningful variables from situation. In addition, children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problem situation show AR (algorithmic reasoning) and CR (creative reasoning) while children with poor understanding of problem situation show just AR (algorithmic reasoning) on their reasoning type.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수학 4-1. 서울: 두산동아.
  2.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 (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307-323.
  3. 김경희․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정송 (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 -TIMSS 2007 결과보고서(연구보고 RRE 2008-3-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경희․김수진․김미영․김선희․강민경․박효희․정송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연구보고 RRE 2009-7-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김민경․이지영․홍지연․김은경 (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 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1-21.
  6. 김선희․김기연 (2004).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포함된 추론의 유형 및 역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 수학>, 6(2), 283-299.
  7. 김성도 (1997). 기호와 추론-퍼스의 가추법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편). 삶과 기호, 351-379. 서울: 문학과 지성사
  8. 김은혜․박만구 (2011). 수학 영재교육 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 해결 전략 및 행동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9-38.
  9. 류시경․박종석 (2006).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65-774.
  10. 박경미․김동원 (2011).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1), 89-102.
  11. 방승진․이상원․황동주 (2002). 초등학교 수학 문제 해결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4, 1-25.
  12. 이재돈․김호중 (2006). 수준별 이동식 수업이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1), 71-97.
  13. 전은미 (2002). 아동의 수학 문장제 이해 방법과 문제 해결 능력 사이의 관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수윤․김진호 (2011).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초등학교 3학년 나눗셈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4(2), 165-185.
  15. 조지민․김수진․이상하․김미영․옥현진․임해미․박연복․이민희․한희진․손수경 (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연구(PISA/TIMSS): TIMSS 2011 본검 사 시행보고서(연구보고 RRE 2011-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지재근․오세열 (2000). 문장제에 대한 이해 정도가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중학교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1), 189-200.
  17. 차영이 (2006). 문장제 이해를 강조한 발문이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Alice, F. A., & Shirel, Y. F. (1999). Mathematical reasoning during small group problem solving, In NCTM,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pp.115-126). Reston, VA: Author.
  19. Bergqvist, T., Lithner, J., & Sumpter, L. (2008). Upper secondary students' task reaso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9(1), 1-12. https://doi.org/10.1080/00207390701464675
  20. Ge, X., & Land, S. M. (2004).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affolding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process using question prompts and peer interac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2), 5-22. https://doi.org/10.1007/BF02504836
  21. Hong, N. S.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multimedia simul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2.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https://doi.org/10.1007/BF02299613
  23. Kintsch, N., & Greeno, J. G. (1985). Understanding and solving word arithmetic problem. Psychological Review, 92(1), 109-129 https://doi.org/10.1037/0033-295X.92.1.109
  24. Lithner, J. (2000). Mathematical reasoning in task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1, 165-190. https://doi.org/10.1023/A:1003956417456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6.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2nd Ed).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우정호 역(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수학적 사고방법. 서울:교우사.
  27. Voss, J. F., & Post, T. A. (1988). On the solving of ill-structured problems. In M. T. H. Chi, R. Glaser & M. J. Farr (Eds.), The nature of expertise (pp. 261-285). Hillsdale, NJ: Erlbaum.

Cited by

  1.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al Reasoning through Topic Modeling vol.30, pp.4, 2012, https://doi.org/10.29275/jerm.2020.11.30.4.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