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rection Analysis of Surface Sliding at ${\bigcirc}{\bigcirc}$ District in the Samcheok Coalfield, Korea

삼척탄전 내 ${\bigcirc}{\bigcirc}$지역에서 발생한 지반 거동의 방향 분석

  • Lee, Byung-Joo (Geological Environment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이병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Received : 2012.02.04
  • Accepted : 2012.03.22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ion of slope sliding that occurred at the highland ${\bigcirc}{\bigcirc}$ district in the Samcheok coalfield, using geological and structural detail surveys. The study area is dominated by the Paleozoic Pyong-an Group, and sliding is concentrated in zones of alternating sandstone and shale beds in the Geumcheon and Jangsung Formations. Discontinuities in the area have a strike of NE-SW and dip at 30~$80^{\circ}$ to the NW and 40~$80^{\circ}$ to the SE. However, some have strikes of NW-SE. In slide area group 1 (P1 to P4), en echelon tension gashes were caused by shearing. The surface in the areas of group 2 (P5 to P7) and group 3 (P8 and P9) is marked by step-type tension cracks that formed due to extension. This phenomenon caused anticlockwise rotation of the sliding slope. Otherwise, the cutting of the road side through the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contributed to surface sliding due to geographical equilibrium loss.

삼척탄전 지역인 태백산맥 고원의 ${\bigcirc}{\bigcirc}$지역에서 산사면의 거동이 발생하여 거동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지질 및 지질 구조특성을 분석하였다. 지반거동이 발생한 지역은 고생대의 평안층군이 분포하는 곳으로 금천층과 장성층이 분포하는 곳에서 집중적으로 거동이 발생하고 있다. 이곳에 발달하는 불연속면들을 모두 동북동 방향의 주향에 30~$80^{\circ}$ 북북서 방향으로 경사진 곳과 40~$90^{\circ}$ 남동쪽으로 경사진 것들이 우세하게 발달하며 북서 방향의 주향을 가지는 불연면속면들도 관찰된다. 지반거동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남쪽인 그룹1지역(P1에서 P4 지점)은 전단응력이 작용하며 안행상 인장틈이 발달하였다. 그룹2(P5에서 P7 지점)와 그룹3(P8, P9 지점) 지점은 공히 인장균열과 함께 정단층성의 스텝균열이 발생하였다. 이들을 근거로 각 지점에서 발생한 인장 방향을 추적하면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며 지반이 거동했음을 보여 준다. 이와 더불어 연구지역 동쪽에 산사면을 따라 개설된 도로의 절취로 인한 산사면에서 응력 불균형 발생도 하나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수, 송영석, 채병곤, 조용찬, 이춘오, 2007,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지질공학, 16(2), 201-214.
  2. 김원영, 채병곤, 2009, 우리나라 자연사면 산사태지역의 강우, 지질 및 산사태 기하형상 고찰, 지질공학, 19(3), 331-344.
  3. 서해길, 김동숙, 박석환, 임순복, 조민조, 배두종, 이돈영, 유양수, 박정서, 장윤환, 1979, 탄전지질도; 삼척 탄전, 자원개발연구소, 22.
  4. 조용찬, 송영석, 김경수, 2011, 도계 석탄폐석 적치장 주변지반의 지형변화 조사 분석, 지질공학, 21(3), 199-212.
  5. 채병곤, 김원영,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최영섭, 2004,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희귀모형 개발, 지질공학, 14(2), 211-222.
  6. Hanson, K.l., Kelson, K.I., Angell, M.A. and Lettis, W.R., 1999, Technique for Identifying Faults and Determining Their Origin, UREG/CR-5503, 3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