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동환, 권병혁, 유훈선, 김선옥, 2010, 일광폐광산 갱내에서 유래된 산성광산배수의 중금속 유출특성, 대한지질공학회지, 20(1), 79-87.
- 강미아, 2007, 산성광산배수로 인한 환경오염도 조사, 대한지질공학회지, 17(1), 143-150.
- 강민주, 이평구, 염승준, 2006, 세창 폐금속광산 수계에서 미량원소의 지구화학적 거동특성 규명,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9(3), 213-227.
- 강민주, 이평구, 이상훈, 2007, 인대광산 지역 광산배수에 영향을 받은 하천에서 미량원소의 계절적인 수질변화와 자연저감, 자원환경지질학회지, 40(3), 277-293.
- 고일원, 이상우, 김주용, 김경웅, 이철효, 2004, 나노 크기 적철석 입자 피복 모래를 이용한 비소 3가와 비소 5가의 제거,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9(1), 63-69.
- 김근수, 황진연, 박맹언, 1999, 일광광산 주변의 산성광산배수 및 토양의 중금속 오염 특성, 대한지하수환경학회 한국토양환경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 공동 학술발표회 논문집, 50.
- 김휘중, 양재의, 옥용식, 이재영, 박병길, 공성호, 전상호, 2005, 휴폐광산 지역에서 유출되는 하천수의 오염도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0(5), 25-36.
- 박천영, 정연중, 김성구, 2001, 광양 폐금광 수계에 형성된 철수산화물에 대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2(3), 208-222.
- 박천영, 정연중, 이인화, 1997, 철 박테리아 Thiobacillus ferrooxidans에 의한 황철석의 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8(4), 321-331.
- 안윤희, 황진연, 김근수, 1999, 일광광산 폐갱 유출수에 의해 형성된 바이오매트의 생광물학적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12, 32-42.
- 안주성, 임길재, 정영욱, 2009, 거풍 폐광산 폐기물 적치장 지하수 및 침출수 수질의 시기별 변화, 자원환경지질학회지, 42(3), 207-216.
- 이평구, 조호영, 염승준, 2004, 폐광산지역의 오염특성 조사와 평가를 위한 지구화학적 접근방법,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7(1), 35-48.
- 최명찬, 임정현, 권보현, 장민, 심연식, 김지형, 2009, 탄광슬러지를 이용한 금속광산 산성배수 처리 시 pH 및 온도의 영향,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4(1), 29-35.
- 환경부, 2007, 2007년도 폐금속광산 토양오염실태 정밀조사, 1568.
- Garrels, R. M., Christ, C. L., 1965, Solutions, minerals, and equilibria. Harper and Row, New York, 450.
- Johnson, D. B., Hallberg, K. B., 2005, Acid mine drainage remediation options: a review,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38, 3-14.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4.09.002
- Matlock, M. M., Howerton, B. S., Atwood, D. A., 2002, Chemical precipition of heavy metals from acid mine drainage, Water Research, 36, 4757-4764. https://doi.org/10.1016/S0043-1354(02)00149-5
- Sheoran, A. S., Sheoran, V., 2006, Heavy metal removal mechanism of acid mine drainage in wetlands; A critical review, Minerals Engineering, 19, 105-116. https://doi.org/10.1016/j.mineng.2005.08.006
- Southam, G., Beveridge, T. J., 1992, Enumeration of thiovacilli with pH-neutral and acidic mine tailing and their role i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mineral soil. Applied Environ. Microbiol, 58, 1283-1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