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inciple of Moving Im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Optical Instruments in the 19th Century - On the Theory of Afterimage Effect and the Scientific Development of Moving Image -

동영상의 원리와 19세기 시각기구의 발전과정 - 잔상이론과 동영상의 과학적 발전에 대해 -

  • Received : 2012.06.02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optical instruments in the 19th century, before the birth of the cinema, and the principle of the perception of moving images. For this purpose it traces the development stages of the optical instruments which demonstrated 'illusion of movement' from 1820s when the 'persistence of vision' had begun to be researched by scientists. Then, it examines the theory of the 'persistence of vision' or 'afterimage effect' known as the principle in the perception of illusion of movement produced from moving images. The optical instruments in the 19th century that presented the illusion of movement began with the Thaumatrope (double-sided picture disc), and appeared from the Phenakistiscope/Stroboscope (revolving disc), the Zoetrope (revolving drum) and the Praxinoscope (mirror-reflexive revolving drum), and in 1892 the Projection-Praxinoscope presented firstly the moving pictures (anima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psychology and physiology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afterimage effect' theory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perception of illusion of movement from the moving image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articularity of the visual perception system of the human eyes. Since then, the Phi-phenomenon suggested 1912 by the Gestalt psychologist, Max Wertheimer (1880-1943), is regarded as the most persuasive theory until now, although it is still imperfect.

본 논문은 영화의 출현 이전 19세기 시각기구들의 발전과정에 주목하여 동영상의 원리와 동영매체가 발전된 과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잔상 이론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1820년대부터 1895년 영화의 발명에 이르기까지 시각 및 동영상기구들의 발전단계를 살펴보고, 동영상의 인지 원리로 알려진 '잔상효과(殘像效果)'(afterimage effect) 이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19세기 시각기구들은 소마트로프(Thaumatrope)-페나키스티스코프(Phenakistiscope) /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조이트로프(Zoetrope) -프락시노스코프(Praxinoscope)로 발전되었고, 1892년 투영식 프락시노스코프가 처음으로 동화(動畫)(moving pictures)를 스크린 위에 '움직임의 환상'(illusion of motion)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시각기구들은 '잔상의 지속' 내지 '잔상효과'라고 알려진 이론을 근거로 발달되었지만, 20세기 초반 연구에 의하면, 동영상의 인지는 기존의 잔상 이론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동영상의 인지에 관해 가장 유력한 설명 모델로서 인정받는 것은 인지심리학자 막스 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 1880-1943)의 1912년 실험·연구에 근거하는 '파이 현상'(Phi-phenomenon)이다. 또한, 동영상의 인지에서는 인간 눈의 특수한 시각적 인지체계가 작용하고 있으므로, 동영상의 인지 원리는 과학 지식과 더불어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 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0-327-A0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