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Was No Violence, But...": Study on Coercive Control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Reconceptualization of Domestic Violence

"폭력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 친밀한 관계에서의 강압적 통제와 가정폭력 재개념화를 위한 연구

  • Heo, Min-Sook (Institute for Gender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 허민숙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 Received : 2012.07.20
  • Accepted : 2012.10.06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By reviewing relatively recent theory of coercive control, which considers gender as a key concept to conceptualize domestic violence, this article explores battered women's experiences with police responses and institutional law enforcement. Using data and interviews from Korea Women's Hotline,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ects of state intervention which fails to support battered women and sends a message to the community that domestic violence is not such a serious crime. Specifically, this study found some problematic responses and attitudes of police and legal system: first, police is equating domestic violence with physical attacks or serious harms. Second, police and law enforcement personnel blame victims based on her gender performance or gender roles. Third, by individualizing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state intervention ignores important structural factors that cause and perpetuate it. Finally, police and the justice system disempower and discourage battered women by exacerbating victim's fears and risks. Viewing domestic violence as a liberty crime, this study concludes that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domestic violence only can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and protecting women's human rights.

이 글은 가정폭력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핵심임을 주장했던 가정폭력 재개념화의 후속연구로서, 젠더 권력을 둘러싼 논의에 초점을 두어 한국사회의 국가개입 실천의 내용과 그 효과를 탐구한 글이다. 신체 폭력의 발생 유무, 공격의 횟수와 빈도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가정폭력 담론의 문제점을 강압적 통제론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사회의 가정폭력에 대한 국가개입 역시 신체적 폭력을 중심으로 가정폭력 발생과 개입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는 점, 둘째, 여성의 불충분하거나 미흡한 젠더수행과 젠더역할을 폭력 유발원인으로 지목하며 비난하고 있다는 점, 셋째, 폭력의 원인과 그에 대한 책임을 개인화함으로써 폭력이 발생하고 지속되는 구조적 원인을 희석시키는 점, 넷째, 국가개입 이후, 오히려 위협적으로 증가하는 가해 남성으로부터의 보복과 비난을 통해 피해 여성의 좌절감과 공포감이 확대되고 있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로부터 가정폭력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가정폭력이 여성의 자유 및 자율성을 찬탈하는 범죄라는 인식과 함께 여성이 취약하게 되는 진짜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1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54-H0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