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al Life Emotions in Koreeda Hirokazu's Still Walking

사실적인 감정의 미학 :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걸어도 걸어도>를 중심으로

  • 민환기 (중앙대학교 공연영상학부) ;
  • 남연경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중앙대학교 영상제작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An innovative narrative film-making always came out of conflict and negotiation between reality and film form. A lesson we learn from their film-making is a certain reality is no more possible to be dealt with by conventional narrative. A dialectic between a real life and a representation drives a certain film-makers to make films. Kore-eda Hirokazu is internationally known as developing his own method of meshing of so-called real life and the artifice of film. As He began his career as a documentary film-maker, made several documentaries for TV and then turned to his feature film-making, documentary film-making defines the basic stance in all of his film-making. He in particular emphasized that he considered the fundamental ethical standpoint of documentary to be filming from the standpoint that one does not - or cannot - know the person one is filming. And therefore even in his fiction films he avoids subjective cinematic structures that offer easy access to the internal states of his characters. He makes his audience observe the internal states of his characters from the outside with his narrative strategy. This article will analyse two documentary films of Koreeda Hirokazu in such a way that his documentaries meshes a real life and the artifice of film and then explores such a fiction film like that changes its documentary methods into narrative strategy for the same effect on the audience.

극영화 <걸어도 걸어도>는 3세대가 한자리에 모인 가족모임을 만 하루동안 다루고 있는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6번째 극영화다. 일본의 지방 소도시 고향집과 그 근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을 길고 정적인 숏들로 담아낸 관찰자적인 시선의 영화다. 극영화의 관습적인 규범에 구성요소들을 맞추기 보다는 복잡한 현실을 복잡함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규범을 파괴하고 변형하는 영화다. 그의 작품이 현실 세계에 대한 다큐멘터리적인 관찰과 극영화의 정제된 형식미를 결합시킨 영화로 불리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본 논문은 <걸어도 걸어도>가 만들어내는 사실적인 느낌과 정서적인 감동이 어떤 내러티브와 영화적인 장치들을 통해서 가능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내러티브와 영화적인 장치들이 현실은 정서적으로 정의됐을 때 진실에 가까워진다는 그의 다큐멘터리 제작경험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힌다. 사건의 당사자와 그것의 관찰자를 분리해서, 현실에 대한 감독의/관찰자의 개입을 강조하는 양식, 극적인 드라마를 가진 사건을 선택해서 그러한 드라마를 따라가는 대신에 인물의 내면이나 드라마의 사회적인 배경을 차분하게 관찰하는 방식, 사물과 공간을 통해서 인물의 내면으로 접근해 들어가는 그의 다큐멘터리적인 방식이 어떻게 극영화 <걸어도 걸어도>에서 반복되고 관객에게 비슷한 정서적 효과를 만들어내는지를 분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ordwell, D., The way Hollywood tells it: Story and style in modern movies, The Univ. of California Press, 2006.
  2. Bruzzi, S., New Documentary, Routledge, 2000.
  3. Rothman, W., Three documentary filmmakers: Errol Morris, Ross McElwee, Jean Rouch (Suny Series, Horizons of Cinema), SUNY Press, 2009.
  4. Gerow, A. & T. Junko, Koreeda Hirokazu, http://www.yidff.jp/docbox/13/box13-1-e.html, 2012년 4월 5일.
  5. Reichert, J., An interview with Hirokazu Kore-eda, http://www.reverseshot.com/article/interview_hirokazu_koreeda, 2012년 4월 20일.
  6. <걸어도 걸어도> (步いても 步いても, 2008).
  7. <그럼에도 불구하고...> (しかし..., 1991).
  8. <그 남자없는 8월> (彼のいない八月が,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