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Frequency and Intensity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경피신경전기자극의 빈도-강도가 만성 요통 환자의 요통장애지수와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4.06
  • Accepted : 2012.05.17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requency and intensity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o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verage age 39.19 (${\pm}12.96$)years. The duration of chronic low back pain was 8.57 (${\pm}3.07$)months. The treatments were given 15 minutes once a day five a week for two weeks. to low back. Lumbar range of motion(ROM) and Oswestry Disabilitv Index(ODI))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ENS application. Each group was compared using Wilcoxon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High intensity group showed more effect in low frequency group. High intensity group showed more effect in high frequency group. Therefore, the high intensity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with high frequency for treating chronic low back pain.

이 연구의 목적은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저빈도-저강도, 저빈도-고강도, 고빈도-저강도, 고빈도-고강도 네 개의 치료조건으로 나누어 만성요통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각기 다른 주파수 빈도와 강도가 만성요통환자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평균연령 39.19(${\pm}12.96$)세, 발병기간 8.57(${\pm}3.07$)개월인 요통환자 32명이었다. 치료기간은 2주 횟수는 총 10회로 1일 1회 15분간 시행하였으며 치료부위는 통증이 가장 심한 요추주변 부위에 시행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요통정도(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각 군간 윌콕슨, 맨-휘트니 검정을 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 .05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 군 모두 실험 후 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에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저빈도군에서는 고강도가, 고빈도군에서는 고강도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고빈도-고강도가 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가장 효과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 W. Anthoyn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nd Sciatica," American Family Physician, Vol.52, No.5, pp.1333-1341, 1995.
  2. 최 훈, 통증의학, 군자출판사, 2000.
  3. 구봉오, 박민철, 송유익, 조예림, "8방향 경사와 회전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285-292, 2010.
  4. S. A. Dugan, "The role of exercise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cute low back pain," Clin Occup Enviorn Med, Vol.5, No.3, pp.615-632, 2006.
  5. 이은영, 방요순, 고자경, "만성 요통환자의 치료를 위한 치료용 볼 운동의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확회지, 제10권, 제3호, pp.109-126, 2003.
  6. S. Ebadi, N. N. Ansari, N. Henschke, S. Naghdi, and M. W. vanTulder, "The effect of continuous ultrasound on chronic low back pain: protocol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Musculoskelet Disord, Vol.12, No.1, pp.59-64, 2011. https://doi.org/10.1186/1471-2474-12-59
  7. H. K. Tsou, S. C. Chao, T. H. Kao, J. J. Yiin, H. C. Hsu, C. C. Shen, and H. T. Chen, "Intradiscal electrotherm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Experience with 93 patients", Surg Neurol Int., Vol.1, 2010.
  8. 정성근, "만성요통의 재활치료", 대한의사협회지, 제50권, 제6호, pp.494-506, 2007.
  9. 임세영, 유상민, 배경연, 이용현, 정재중, "요통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물리치료의 단독 및 병행치료의 효과와 만족도 조사", 대한침구학지, 제22권, 제6호, pp.75-84, 2005.
  10. P. Borman, D. Keskin, and H. Bodur, "The efficacy of lumbar traction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Rheumatology international, Vol.23, No.2, pp.82-86, 2003.
  11. 조성국, 어규식, 전양현, 홍정표, "경피신경자극치료기(TENS)의 기능별주파수에 따른 교근과 피개상피의 혈류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34권, 제1호, pp.115-122, 2009.
  12. B. Platon, P. Andrell, C. Raner, M. Rudolph, A. Dvoretsky, and C. Mannheimer, "Highfrequency, high-intensit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s treatment of pain after surgical abortion," Pain, Vol.148, No.1, pp.114-119, 2010. https://doi.org/10.1016/j.pain.2009.10.023
  13. 이충희, "경피적 신경전기자극이 동통 역치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8권, 제1호, pp.39-46, 1987.
  14. 이재학, 윤범철.전민정, 전경희, 이명화, "저주파경피신경자극이 지연성 근육통과 근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 제1권, 제1호, pp.31-37, 2005.
  15. B. G. Pietrosimone, S. A. Saliba, J. M. Har,t J. Hertel, D. C. Kerrigan, and C. D. Ingersoll,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therapeutic exercise on quadriceps activation in people with tibiofemoral osteoarthritis,"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41, No.1, pp.4-12, 2011. https://doi.org/10.2519/jospt.2011.3447
  16. 강희열, 국종선, 김창근, 김희정, 김형필, 이성일, 이초희, 박용진, "경피신경자극 테이핑 요법이 요통환자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려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회지, 제3권, 제1호, pp.23-27, 2008.
  17. 변숙희, 운동치료와 경피신경전기자극 치료가 만성경부통증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8. 구찬숙, 전자동 병동 주파수(30-200 Hz)와 고정주파수(80 Hz)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가 통증수용기와 체온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 김명종, 이준희, 최원호, "근막통증후군에 대한 경피신경전기자극과 간섭전류치료의 효과비교",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제2권, 제1호, pp.1-8, 2004.
  20. 정용종, 고수정, 유혜영, 정도영,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경피신경 전기자극과 미세전류 신경근 자극의 효과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7권, 제2호, pp.76-87, 2000.
  21. 최원호, 신원태, "전기자극과 초음파 적용이 만성요통환자의 근 수행능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8권, 제4호 pp.911-918, 2009.
  22. 김재영, 만성요통환자에서 반복자기자극 치료와 경피전기신경자극 치료비교,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Kazunori Itoh., Satoko Itoh., Yasukazu Katsumi, and Hiroshi Kitakoji, "A pilot study on using acupuncture and transcutaneous elactrical nerve stimulation to treat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Vol.15, No.1, pp.22-25, 2009. https://doi.org/10.1016/j.ctcp.2008.09.003
  24. 이윤환, TENS의 주파수 빈도-강도가 테니스 엘보환자의 악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Mayer, Tom, G., MD., Kondraske, George, Brady Beals, Susan, Gatchel, and J. Robert, "Spinal Range of Motion: Accuracy and Sources of Error With Inclinometric Measurement," Spine, Vol.22, No.17, pp.1976-1984, 1997. https://doi.org/10.1097/00007632-199709010-00006
  26. J. C. Fairbank, J. Couper, J. B. Davies, and J. P. O'Brien,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Vol.66, No.8, pp.271-273, 1980.
  27. C. H. Joen, D. J. Kim, S. K. Kim, D. J. Kim, H. M. Lee, and H. J. Park, "Validation In the cross-curlural adpataion of the Korea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ity Index," J of Korean Med Sci., Vol.21, No.6, pp.1092-1097, 2006. https://doi.org/10.3346/jkms.2006.21.6.1092
  28. 김형일, 신동규, "만성요통의 원인과 진단전략", 대한의사협회지, 제50권, 제6호, pp.482-493, 2007.
  29. P. D. Wall and W H. Sweet, "Temporary abolition of pain in man," Science, Vo1.155, pp.108-109, 1967.
  30. 김상범, 윤기성, 곽현, 하남진, 이용언. "저주파 및 고주파 침 경피신경자극이 정상 성인의 통증 역치에 미치는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3권, 제3호, pp.636-642, 1999.
  31. G. Leonard, C. Cloutier, and M. Serge, "Reduced analgesic effect of acupuncture-like TENS but not conventional TENS in opioid-treated patinets," Pain, Vol.12, No.2, pp.213-221, 2011. https://doi.org/10.1016/j.jpain.2010.07.003
  32. M. L. John, C. H. Ashton, D. R. Bousfield, and J. W. Thompson, "Analgesic effects of different frequencie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cold-induced pain in normal subject," Pain, Vol.39, No.2, pp.231-236, 1989. https://doi.org/10.1016/0304-3959(89)9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