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Process of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Based on the Biographies of the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의 구성과정 -재독한인여성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2.29
  • Accepted : 2012.04.25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analys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Ten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s with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scer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The genders in their biographies were constructed similar before their marriage, but different after their marriage according to the work-family balanced type and the family centered type. Before their migration the 'process of life' as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female workers showed that both types had partially deconstructed a sex-segregated gender. The process of life as female migrant workers after their migration showed that both types had partially constructed a sex-neutral gender. The process of life after their marriage exhibited that the former strengthened and strengthens a sex-neutral gender in a double position as female migrant workers and female marriage migrants, but the latter reconstructed a sex-segregated gender again and intensifies this in a process of time.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were addressed, which emerged from the understanding on the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여성의 생애사에서는 어떠한 젠더가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간호노동자로 이주한 10명의 재독한인여성들과 Schutze(1983)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도 그의 분석방법에 의거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는 결혼 이전까지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결혼 이후에는 직업과 가정을 양립한 경우와 가정에만 전념한 경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포착할 수 있었다. 즉, 이주 이전의 여학생이나 노동여성으로서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두 경우 모두 성분리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해체'했고, 이주 이후의 노동이주여성으로 전환된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성중립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행했는데', 결혼 이후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노동이주여성과 결혼이주여성으로서의 이중적 위치에서 성중립적 젠더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었고 또 강화시키고 있는 것과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전환된 단일한 위치에서 성분리적 젠더를 다시 재구성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를 더욱 고착화시키고 있는 차이가 있음을 추적할 수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를 이해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