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청소년의 시설생활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Life Experiences of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 투고 : 2012.01.24
  • 심사 : 2012.03.28
  • 발행 : 2012.05.31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기 지적장애인의 시설생활 경험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시설은 대형 거주시설과 체험홈에서의 경험이 함께 탐색되었으며, 지적장애청소년을 주요 연구참여자로 하되, 자료의 충분성을 높이고자 부모와 생활재활교사를 보완적으로 인터뷰하여 현상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청소년은 대형거주시설에서 규율에 얽매인 제약된 생활, 개인생활과 선택경험의 제한, 존중받지 못함 등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체험홈에서는 독립생활이 시작됨, 자립을 꿈꾸나 어려움, 집 같은 편안함, 공동생활이 어려울 때가 있음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청소년은 두 유형의 시설에서 공통적으로 서로 의지함, 가족을 가슴에 품고 삶, 또래관계에서 소외됨, 시설에서 사는 것을 알리고 싶지 않음의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비록 탐색적 연구의 한계를 갖는다 할지라도, 국내 최초로 지적장애청소년의 시설생활 경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있는 그대로 들여다봄으로써 지적장애청소년에 대한 이해 및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그 함의가 크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of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residential facilities in this study include large scale residential facilities where many residents live and a group home where a few residents live.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yout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recommendations of professional groups, and interviewed using the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 methods. In addition, social workers and parents were interviewed to complement interviews of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ollowing main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experiences of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live in residential facilities: 'restricted lives by strict rules', 'limitation of individual lives and choice experiences', 'not being respected' at large scale residential facilities, and 'starting independent living', 'a still hardship of independence', 'a tranquil life like home', 'difficulties of communal living' at the group home. Also, they have common experiences in both types of residential facilities: 'depending on each other', 'missing their family', 'being excluded from peer groups at school', 'not wanting to be known as living at residential facilit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results are for the policy making, and the actual practice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ir right and well-be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