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an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R-learning

R-learning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분석 연구

  • 한수정 (서울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2.03.15
  • Accepted : 2012.04.23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R-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m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철, 박성덕, 김은정,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6호, pp.161-187, 2010.
  2. 김병준, "아동과 홈 로봇 상호작용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3. 김영실, 이종향, 현은자, 박현경, "지능형 로봇 활용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389-409, 2011.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 서울: 문음사, 2006.
  5. 김옥진. "초등교육용 로봇 얼굴 설계를 위한 인지적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 김현주, "사립유치원 교사 문화의 특질: 어느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7. 박경희, 홍지명,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25-42, 2010.
  8. 박성익, 장선영, 김미경, "'u-러닝'의 이론적 탐색과 실천적 발전 과제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149-173, 2008.
  9. 신건숙, "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10. 신나민, "로봇과 교육의 관계맺기", 2008 로봇 콘텐츠 세미나 발표자료, 2008.
  11. 신나민, 이선희. "아동-로봇 친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동학회지 제29권, 제5호, pp.97-111, 2006.
  12. 손예진, "만 5세 유아들의 유아교육용 로봇 이미지와 이에 여향을 미치는 로봇의 특성",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송주연, 황해익,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399-423, 2010.
  14. 윤현민, "유아교육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11, 2010.
  15.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16. 이고은, "교사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7.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18. 이승민, 한정혜, "혼합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학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현대영어교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62-87, 2010.
  19. 이용주, "유아교사의 컴퓨터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주문식 교육과정 개발", 경복전문대학 논문집, Vol. 24 No. [2006]. pp.87-110, 2006.
  20. 전자신문, "R-러닝과 R-러닝에 대한 생각", 2010년 3월 23일자, 2010.
  21. 정재경, 최종홍, 한정혜, "교사 보조 로봇 스타일에 다른 아동 반응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95-203, 2007.
  22. 정지현, 박선미,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과 이미지", 어린이미디어연구, 제9권, 제3호, pp.1-30, 2010.
  23. 조혜경, 박강박, 한정혜, 민덕기, 고국원 , "교육+로봇: 비전과 액션 플랜", 한국정보과학회지, 제26 권, 제4호, pp.55-64, 2008.
  24. 최미나,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육용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인식 및 활용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5. 최재성, "홈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도우미 시스템 설계",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6. 한정호, 김동호, "교사 보로 로봇의 교육적 활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849-856, 2006.
  27. 한정혜, 조미현, "R-learning에서의 로봇 보조 학습",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497-508, 2009.
  28. 현은자, 김소연, 장시경,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5호, pp.175-196, 2008.
  29. 현은자, 윤현민, 강정미, 손수련, "교육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한국로봇공학회 한국지능로봇 학술대회: Beginning of Robot Age. (pp.113-118) 7월 1일 대전: KAIST 터만홀, 2009.
  30. 현은자, 장시경, 박현경, 연혜민, 김수미,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테츠 개발", 한국콘텐츠확회 논문지, 제9권, 제10호, pp.482-491, 2009.
  31. 현은자, 박현경, 장시경, 연혜민,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아동학회지, 제31권, 제1호, pp.267-282, 2010.
  32. Billard, 1., Robins, b., Dautenhahn, k., and Nadel, J., "Building robota, a Mini-humanoid Robot for the Rehabilitaion of Children with Autism", RESNA Assistive Technology Journal Vol. 19, No. 1, pp.37-49, 2006.
  33. Bogdan, R. C. and Biklen, S. K,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 An instruction to theory and method, Boston, MA: Allyn &Bacon, INC, 2006.
  34. Bers, M. U., Ponte I., Juelich K., Viera A., and Schenker J., "Teacher as designers: Integrating robo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in Childhood Education, pp.123-145, 2002.
  35. Eapinosa, Laffey, Whittaker, and Sheng, "Technology in the home robots for children", In Proceeding of the IEEE Internal Workshop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2005), Hatfield. UK. August, pp.13-15, 2006.
  36. Firestone, W. A. and Herriott, R. E. "The formaliz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 An adaptation of 'soft' science to the policy world, Evaluation Review, 7, pp.437-466. 1993.
  37.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 Newbury Park, CA: Sage Safford, 1990.
  38. Gates, "A Robot in Every Home", Scientific American 296, pp.58-65, 2007.
  39. Kremenitzer, J. P., "The Emotionally intelligent early childhood educator", Self-Reflective Journal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Vol. 33, No. 1, pp.3-9, 2005. https://doi.org/10.1007/s10643-005-0014-6
  40. Kremenitzer, J. P. and Miller, R., "Are you a highly qualified, emotionally intelligent early childhood educator?", Young Children, Vol. 63, No. 4, pp.106-112, 2008.
  41. Ruvolvo, P, Fasel, I., & Movellan, J., "Auditory mood detection for social and educational robots", proceedings of the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votics and Automation, Pasadena, USA, pp.3551-3556, 2008.
  42. Miles M. B. and Huberman A. M., "Qualitative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 1994.

Cited by

  1.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 vol.9, pp.3, 2012, https://doi.org/10.7746/jkros.2014.9.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