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visualization of Migration Statistics Using Flow Mapping Based on Web GIS

Web GIS 기반 유선도 작성을 통한 인구이동통계의 지리적 시각화

  • Kim, Kam-You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I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3.15
  • Accepted : 2012.04.10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In spite of the usefulness of migration statistics in spatially understanding social processes and identifying social effects of spatial processes, services and analyses of the statistics have been restrict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ir data structure. In addition, flow mapping functionality which is a useful method to explore and visualize the migration statistics has yet to be fully represented in modern GIS applications. Given th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flow mapping and the exploratory spatial analysis of the migration statistics in a Web GIS environment.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istics were examined from database, GIS, and cartographic perspectives. Then, O-D structure of the migration statistics was converted to spatial data appropriate to f low mapp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interface of Web GIS is specialized the migration statistics and provides exploratory visualization by allowing dynamic interactions such as spatial focusing and attribute filtering.

인구이동통계는 사회현상에 대한 공간적 이해와 공간과정의 사회적 영향 파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구조의 복잡성 때문에 자료 서비스와 분석이 제한되어 왔다. 한편 인구이동통계를 탐색하고 시각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유선도 작성(flow mapping)은 아직 상용 GIS 소프트웨어서 완전히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Web GIS를 통한 유선도 제작과 이를 이용한 인구이동통계에 대한 탐색적 공간 분석이 가능함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GIS, 지도학적 관점에서 인구이동통계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O-D 구조의 인구이동통계를 유선도 제작에 적합한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였다. 인구이동통계에 적합하도록 Web GIS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문화하였고, 지도화의 시간, 공간 및 속성 범위의 설정을 통한 탐색적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