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Dysmenorrhea Clinic for Female College Students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월경통 클리닉에 대한 임상 보고

  • Kim, Hyeon-Ju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 Sohn, Young-Joo (Dept. of Anatom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Lee, Yong-Hyun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김현주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 교실) ;
  • 손영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 교실) ;
  • 이용현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 교실)
  • Received : 2012.04.25
  • Accepted : 2012.05.15
  • Published : 2012.05.25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dysmenorrhea patients. Methods: We studied twenty-six patients who visited Oriental Hospital of ${\bigcirc}{\bigcirc}$ University from September 2011 to December 2011. Women with organic disease such as endometriosis, uterine myoma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treated them with herb,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or one menstrual cycle.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was measured by VAS(Visual analog scale) and MVRS(Multidimensional Verbal Rating scale). Results: The mean${\pm}$Standard Error of mean(S.E) of VAS on after treat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before(p=0.00). The mean${\pm}$S.E of MVRS on after treat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before(p=0.00).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such as herb, acupuncture and moxibustion has remarkable effects on dysmenorrhea patients.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하). 서울:도서출판 의성당. 2012:31, 86-97.
  2.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제 4 판. 서울:도서출판 고려의학. 2008:132-5.
  3. Slap GB. Menstrual disorders in adolescence.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ecol. 2003;17:75-92. https://doi.org/10.1053/ybeog.2002.0342
  4. 김형옥 등. 한국 청소년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8;51(11):1322-9.
  5. 김주아. 사관학교 여생도의 월경 전후기 불편감과 대처방법. 서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0:1-62.
  6. 김지선 등. 여대생의 월경시 불편감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2011;45:14-28.
  7. 이성옥, 장정대. 20대 여대생의 월경불편감 및 월경통증 완화 방법 조사. 한국미용학회지. 2011;17(3):525-35.
  8. Zhu X et al. Chinese herbal medicine for primary dysmenorrhoea. Cochrane Database of Systemic Reviews. 2008.
  9. 임정한 등. 玄附理經湯加減의 氣滯血瘀型 月經痛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228-37.
  10. 이인선 등. 소음인 藿香正氣散加味方을 투여한 월경통 환자 20예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168-83.
  11. 주병주 등. 體鍼治療가 청소년기 원발성 월경통 환자의 즉각적인 진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232-41.
  12. 정학수 등. 청소년기 월경통 환자에 대한 耳鍼治療의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183-92.
  13. 이인선 등. 월경량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42-52.
  14. 류한우, 임은미, 김윤상. 일개 대학신입생의 월경과 비만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1):99-108.
  15. 차지혜, 김윤상, 임은미. 일개 대학신입생의 월경양상과 월경통 관련인자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4):117-29.
  16. 임은미, 차지혜, 김윤상. 여대생들의 비만지표와 신체활동량 차이에 따른 월경양상 및 월경통과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2011;24(3):156-70.
  17. 김성용, 금동호, 이명종. 통증의 평가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방재활의학학회지. 1997;7(2):205-19.
  18. 박성수 등. 한의원에서 사용 가능한 정량적인 월경곤란증 평가지표 개발.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1):144-61.
  19. 양성우 등. 월경통 환자의 임상 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156-72.
  20. Andersch B, Milsom I. An epidemio -logic study of young women with dysmenorrhea. Am J Obstet Gynecol. 1982;144:655-6. https://doi.org/10.1016/0002-9378(82)90433-1
  21. Vercellini, Paolo et al. Endometriosis and Pelvic pain: relation to disease stage and localization. Fertil Steril. 1996;65(2):299-304. https://doi.org/10.1016/S0015-0282(16)58089-3
  22. 최가야 등. 桂枝茯苓丸의 생리통 환자에 대한 임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78-86.

Cited by

  1. An Analysis of Recent Oriental Medical Research on Dysmenorrhea vol.34, pp.4, 2012, https://doi.org/10.13048/jkm.13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