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Basin of Alpine Field during the Snowmelt Season

고랭지 밭 유역의 융설에 의한 수질특성

  • Choi, Yong-Hun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Won, Chul-Hee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oon-Ji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Min-Hwan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Jea-Young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Su-In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oong-Dae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용훈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원철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박운지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신민환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신재영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이수인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 최중대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Published : 2012.05.30

Abstract

In this study, Song-Cheon river Basin located at Dae-kwan-lyong Meyn in Kang-Won Province was monitor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during the snowmelt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ion such as runoff, change in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s by snowmelt were investigated from 23th February 2010 to 27th April 20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imate change effects flow, turbidity and concentration of SS and COD with showing similar trend of fluctuation. Daily pollutant loads per unit area were SS 74.43 kg/ha/day, COD 1.25 kg/ha/day, BOD 0.21 kg/ha/day, TN 0.717 kg/ha/day, TP 0.141 kg/ha/day and the flow weight mean concentration has been SS 985.97 mg/L, COD 16.28 mg/L, BOD 2.67 mg/L, TN 9.302 mg/L, TP 1.834 mg/L, respectively. The flow and pollutant loads both of SS and of COD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snowmelt period. Because structurally loosen soil by freezing and thawing deteriorates water quality, research and management measures will b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 유승엽(2008). NWS-PC 모형을 이용한 강우-유출 모의에서 적설 및 융설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1), pp. 1-9.
  2. 강창구(2011). http://news.naver.com/.
  3.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2008).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영산강.섬진강 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2년차 보고서, pp. 1-2.
  4.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2009). 비점오염원 관리 지역 모니터링 및 평가, pp. 233-237.
  5. 권순국(1998). 우리나라 비점원 수질오염 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0(11), pp. 1497-1510.
  6. 김남원, 이병주, 이정은(2006). SWAT을 활용한 충주댐 유역의 융설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8(10), pp. 833-844.
  7. 신민환, 원철희, 박운지, 최용훈, 신재영, 임경재, 최중대(2011a). 경사지 밭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 저감을 위한 피복재 적용, 한국농공학회지, 53(6), pp 129-136.
  8. 신민환, 원철희, 박운지, 최용훈, 장정렬, 임경재, 최중대(2011b). 지표피복재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53(4), pp. 29-37.
  9. 원철희, 신민환, 최용훈, 신재영, 박운지, 최중대(2011a). 토양유실 저감을 위한 지표피복재 적용,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7(6), pp. 848-854.
  10. 원철희, 최용훈, 신민환, 신동석, 강동구, 최중대(2011b). 강우시 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7(5), pp. 572-579.
  11. 원철희, 최용훈, 서지연, 김기철, 신민환, 최중대(2009). 산림과 밭 지역 강우 유출수의 EMC 및 원단위 산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7), pp. 615-623.
  12. 이현동, 안재환, 김운지, 배철호(2001). 토지이용별 강우시 비점오염 물질의 유출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17(2), pp. 147-156.
  13. 장철희, 김현준, 노성진, 김철겸(2005). GSSHA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5-79.
  14. 정부합동(2004). 물관리 종합대책의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세부실천계획, pp. 1-110.
  15. 정용준, 남광현, 민경석(2004). 낙동강 소유역 경지에서의 비점오염원 물질 발생 및 배출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0(4), pp. 333-338.
  16. 최용훈, 원철희, 서지연, 신민환, 양희정, 최중대(2009). 평지밭과 고랭지밭의 비점오염에 대한 분석과 비교,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5), pp. 682-688.
  17. 최중대, 이찬만, 최예환(1999). 토지이용이 농업소유역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2(4), pp. 501-510.
  18. 최지용, 신창민(2002).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우수유출수 관리방안, pp. 53-82.
  19. 환경부(2004).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환경부고시 제2004-188호, pp. 1-229.
  20. 환경부(2005). 주요 비점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방안, pp. 1-164.
  21. 환경부(2006).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4대강 대권역 수질보전 기본계획, pp. 200-202.
  22. 환경부(2007a). 광주광역시 비점오염원관리대책, pp. 1-14.
  23. 환경부(2007b). 도암호유역 비점오염원관리대책, pp. 1-18.
  24. 환경부(2007c). 소양호유역 비점오염원관리대책, pp. 1-19.
  25. 환경부(2007d). 임하호유역 비점오염원관리대책, pp. 1-20.
  26.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pp. 5,12-5,16.
  27. Batiuk, R. and B. Koeoncai (2009a). http://www.epa.gov/reg3wapd/pdf/pdf_chesbay/BayTMDLPublicMeetingMD_120809_ v1.ppt/.
  28. Batiuk, R. and B. Koeoncai (2009b). http://www.epa.gov/reg3wapd/pdf/pdf_chesbay/BayTMDLPublicMeetingPA_111809_final.ppt/.
  29. Batiuk, R. and B. Koeoncai (2009c). http://www.dcr.virginia.gov/vabaytmdl/documents/baytmdlpublicmeetingepafinal.pdf/.
  30. Ginting, D., Moncrief, J. F., and Gupta, S. C. (1998). Interaction between Manure and Tillage System on Phosphorus Uptake and Runoff Losse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7, pp. 1403-1410.
  31. Tullen, P. (2002). Methode D'analyse du Fonctionnement by Hydrogeologique des Versants Instables, Dissertation,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Switzerland, pp. 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