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reness about Quality of Life among Urban to Rural Returners

귀농인의 삶의 질 인식 수준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wareness about quality of life(QOL) in categories among urban to rural returners. Using survey data from urban to rural returners in Jellado and Gyungsangdo, t-tests and F-test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follows as: 1) In general, the awareness about QOL was slightly above the moderate level. The QOL in family relation and self-actualization showe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levels but the QOL in economy activity and local environment showed relatively lower awareness levels. 2) females returners from urban to rural showed lower level of awareness about QOL compared to male returners from urban to rural. 3) returners who have returned to their hometown showed higher level of awareness about QOL than those who have not lived in rural area before. 4) hometown returners showed higher level of awareness about health and energy, sentiment, self-realization, social activities, and local environment. 5) those who lived in rural area for four to five years after return had highest awareness level about QOL. To improve the awareness level about quality of life among urban to rural returners, returners's attitudes and efforts and the choice of returning place would be important. Moreov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female returners, the change in the policy for returning to the farm, especially in aspects of social activity and family relationships. Also, enforced education program would be necessary for returners those who never experienced farming.

이 연구의 목적은 귀농인들의 영역별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집단별 삶의 질 인식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도와 경상도에 거주하는 귀농인 660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검정과 F-검정을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인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 인식수준은 보통수준에 가까우며, 상대적으로 가족 관계와 자아실현 영역이 높은 인식수준을 보인 반면, 경제활동과 지역환경 영역에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둘째, 여성 귀농인이 남성 귀농인보다 귀농 이후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낮다. 셋째, 농촌생활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고향농촌으로 귀농한 경우 농촌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높다. 넷째, 고향농촌으로 귀농한 경우는 건강과 활력, 정서, 자아실현, 사회생활, 지역환경 영역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다. 마지막으로, 귀농 4-5년 차 귀농인의 농촌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다. 귀농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귀농인 자신의 노력과 귀농지 선택이 중요하겠다. 나아가 여성 귀농인의 경우 경제활동 및 가족관계 영역에서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귀농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며 농촌생활 경험이 없는 귀농인들에 대한 귀농교육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2006).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3-53.
  2. 강희숙, 이도희. (2004). 농촌 주민들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12, 201-225.
  3. 노유자. (1988).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서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6). 2005년 농촌생활지표. 수원: 저자.
  5. 박공주, 윤순덕, 강경하.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계획, 12(4), 63-76.
  6. 박대식, 마상진. (2007). 도시와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수화 방안연구. 농촌경제, 30(4), 31-55.
  7. 박대식, 이영대. (1997). 농촌복지지표의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374.
  8. 박대식, 최경환. (2002).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444.
  9. 박옥임, 김정숙, 정영해. (2004).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6(4), 89-100.
  10. 박은경. (2008). 귀농인 이주만족도 조사연구: 영월 지역 은퇴 후 귀농인을 중심으로. 서울 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재규. (2005). 여성 농업인의 역할증대와 건강관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농촌경제, 28(4), 33-49.
  12. 보노뉴스. (2011). 한 해 귀농귀촌인 10,000명 수준으로 늘어. Retrived 2011, 4, 15, from http://www.bodonews.com/sub_read.html?uid=21155
  13. 유홍재, 채은희. (2009). 농촌정보화마을사업이 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농촌경제, 32(3), 85-106.
  14. 이상호. (2008). 경북지역 귀농인의 지역 및 지역주민과의 만족도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5(3), 351-565.
  15. 장소영. (1998). 분당 신도시 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전애라. (2008). 삶의 질 만족도 조사에 대한 통계적 군집분석 및 그의 활용. 서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정철영, 이용환, 나승일. (2001). 21세기 지식기반 농업을 위한 농업인력 육성방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원.
  18. 정한모. (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Campbell, A. (1972). Aspiration, satisfaction and fulfillment. In A. Campbell and P.E. Converse(eds.), The Human Meaning of Social Change. New York, NY: Russell Sage.
  20. Ferrans, C.E., & Powers, M.J. (1985). Quality of life lnde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1), 15-24. https://doi.org/10.1097/00012272-198510000-00005
  21. Inkeles, A. (1993). Industrialization, moderniz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34, 1-23. https://doi.org/10.1177/002071529303400101
  22. Meeberg, G.A. (1993). Quality of lif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8(1), 32-38.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3.18010032.x
  23. Szalai, A. (1980). A profile of male mid-life conc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WHOQOL study protocol. WHO(MNH/PSF/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