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alue of Island Landscape as Scenic Site Resource - Focus on the Raising Fine Village(Gwanmaedo, Youngsando) -

도서 경관의 명승자원으로서의 가치연구 - 명품마을(관매도, 영산도)을 중심으로 -

  • Lee, Young-Yi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in-He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Kim, Jun (Jeonnam Research Institut)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이영이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진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김준 (전남발전연구원)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Despite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of islands and oceans is increasingly being emphasized as they are recognized as alternative spaces for the future, some islands that have not been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have lost their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s to development projects and other plans for turning islands into tourist resources, and are still in the process of being destroyed. Unlike old perceptions of islands, islands, in the minds of people living in the modern age, have become places for taking a quiet rest or enjoying and appreciating the undamaged beauty of nature itself. Keeping up with the trend of people increasingly visiting the islands these days, it is high time to prepare plans for the promoti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ages of islands based on researches of islands with excellent natural landscapes and through the designation of these islands as cultural properties. As the first step of studying island landscape resources as resources of cultural assets, the current study includes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investigations of Gwanmaedo and Yeongsando, two islands that have been selected as prestigious villages and are part of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Based on these preliminary investigations, landscape resources showing distinctive natural landscapes and cultural scener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thus presented for their value as resources of Scenic site and future research.

섬과 바다는 미래의 대안공간으로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음에도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섬들이 섬 관광자원화, 개발사업 등으로 인하여 섬 자체의 자연 및 문화 경관이 훼손되었으며, 지금 현재도 훼손이 진행 중에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섬은 과거의 인식과는 달리 한적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 훼손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곳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섬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자연경관이 뛰어난 섬들에 대한 조사 연구 및 문화재 지정을 통한 홍보와 보존 관리 및 활용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명승 자원으로서 섬 경관 자원 연구의 첫 단계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명품마을로 선정된 관매도와 영산도 2곳의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하여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의 특이성이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관매도 하늘다리 일원과 영산도 코끼리바위 일원에 대한 정밀조사 분석함으로써 명승 자원으로서의 가치와 향후과제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10). 관매도 명품마을 만들기 사업계획.
  2. 국립공원관리공단(2012). 영산도 명품마을 만들기 사업계획.
  3.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2010). 한국지명유래집전라, 제주편.
  4. 김준(2012). 섬문화 답사기. 신안편. 서책.
  5. 노재현, 신상섭(2010). 제주 방선문의 선경적 이미지와 명승적 가치. 한국조경학회지. 38(1):98-106.
  6. 문화재청(2012). 자연유산 업무편람.
  7. 신안군(2000). 신안군지.
  8. 신안군(2011). 신안군 관광종합발전계획 -신비의 남국열도 안락한 천사의 섬.
  9. 이진희(2005). 명승 대상지 평가 인자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전라남도(1996). 한국도서백서(韓國島嶼白書).
  11. 전라남도(2002). 전남의 섬.
  12. 전라남도(1999). 전남 도서 해안지역 지질환경연구. 전남대학교.
  13. 정기상(2006). 섬진강권역의 명승지정을 위한 기초자원 조사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진도군(2010). 진도군지.
  15. 홍광표, 허준, 김주환(2009). 소요산의 명승적 가치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7:108-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