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 경성부 남산공원설계안의 삼림공원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a of Forest Park in Kyongsungbu Namsan Park Design Proposal in 1917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서영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Son, Yong-Ho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 Young-Ai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17년 수립된 '경성부 남산공원설계안'의 내용을 분석하여 설계안의 특성과 의의, 그리고 삼림공원의 개념을 고찰하는 것이다. '경성부 남산공원설계안'은 남산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적인 공원계획가에 의해 처음 시도된 공원계획이다. 설계안을 수립한 공원계획가는 일본의 근대 도시공원 선구자인 혼다 세로쿠다. 그는 남산공원 계획시 삼림공원으로서의 계획개념을 명확히 했다. 이를 통해 당시 경성에 있어서 남산이 갖는 공간적 위상을 고찰할 수 있다. 계획된 남산공원의 공간범위는 당시 존재하던 왜성대공원, 한양공원, 노인정, 장충단 등 남산의 북측 공간이 넓게 포함되었고, 남측으로는 성벽을 넘어 용산으로 연결하는 등 매우 넓게 검토되었다. 이러한 넓은 공간적 계획범위를 대상으로 공원도로계획, 공원시설계획이 수립되었고, 각각 도입되는 시설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공원경영방법이 함께 구상되었다. 비록 혼다의 남산공원계획안은 실행되지 못했지만, 남산을 대상으로 한 최초로 수립된 근대적 공원계획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계획안이 갖는 현대적 의미와 시사점도 함께 고찰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eatures and meanings on Kyonsungbu Namsan Park Design Proposal established in 1917, and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e idea of Forest Park on Namsan Park. This Namsan Park Design Proposal has been the first attempt to apply modern park concept to broaden Namsan area by a professional park planner. The professional park planner to conduct Namsan Park Design Proposal is Dr. Seiroku Honda who is a pioneer of modern Japanese park planning. He clarified the concept of Namsan Park into Forest Park. With his idea we can imagine the position of Namsan at that time as a meaningful green space in Kyonsung city. In the proposal, the planning boundary of Namsan Park was considered widely as Namsan area into one big park, including the north with existing Wesungdae Park, Hanyang Park, Noinjeong and Jangchungdan, and the south with connecting park to Yongsan area beyond the walls of Hangyang castle. In a wide range of park space of the plan, parkways and park facilities were introduced. How to manage new parkways and facilities were also considered together. The significance of this plan is that it is the first trial of modern park planning with Namsan.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Kyonsungbu Namsan Park Design Proposal, the modern meaning and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용, 장윤환(2004).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대왕사.
  2. 개벽(1926). 개벽 4월호(통권 68호). 경성:80-81.
  3. 곽승준, 유승훈, 한상용(2003). 잠재적 산림생태공원에 대한 소비자 선호분석. 경제연구 21(3):289-311.
  4. 국립산림과학원(2005). 도시림형 산림공원 조성방안. 산림청.
  5. 김세천, 박봉주, 최형근, 강봉주(2005). 화순군 만연산 산림치료공원 조성계획.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9(2):50-51.
  6. 매일신보(每日申報).
  7. 손용훈(2011). 국가도시공원제도의 개념과 관리운영상의 과제:일본 국영공원제도의 운용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6(3):79-92.
  8. 한상열, 이민하(2009). 산림테마공원 유형별 선호도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1):1-5.
  9. Chadwick, G. F. (1966). The Park and the Town; Public Landscape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London. The Architectural Press.
  10. Cranz, G. (1982). The Politics of Park Design. A History of Urban Parks in America. MIT Press.
  11. Bertram, M. andA. Kiessling(1891) Gartnerisches Planzeichnen. Parey.
  12. 本多静六(1917). 京成府南山公園設計案. 고문서. pp. 1-14.
  13. 本多静六(연도미상). 市町村有林の価値と森林公園. 고문서. pp. 1-6.
  14. 本多静六(1923). 海外に於ける国立公園及森林公園の實況. 고문서. pp. 1-38.
  15. 本多静六(1924). 森林の民衆化と森林公園. 고문서. pp. 1-29.
  16. 京城府(1936). 京城府史2. 京城
  17. 白井彦衛(1980). 都市の緑地保全思潮に關する研究. 千葉大學學報. 28: 1-135.
  18. 上原敬二(1985). 造園辞典. 鹿島書店.
  19. 熊谷洋一, 下村彰男, 小野良平(1995). マルチオピニオンリーダー本多 静六:日比谷公園の設計から風景の開放へ. ランドスケープ研究. 58(4): 349-352.
  20. 石川幹子(2001). 都市と緑地 ; 新しい都市環境の創造にむけて. 岩波書店.
  21. 田代順孝(2006). パークマネージメントの構築(田畑貞寿, 田代順孝編、 市民ランドスケープの展開. 環境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東京. pp. 7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