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Landscape Displaying Techinques of Traditional Gardens between China and Korea - With Soswaewon and ZhuozhengYuan -

한.중 전통원림의 수경관 연출기법 비교 연구 - 소쇄원과 졸정원을 중심으로 -

  • Lee, Hang Lyoul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Convergence, Sangmyung University) ;
  • Kim, Sun Ry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Resource, Sangmyung University)
  • 이행렬 (상명대학교 융복합특성화대학 환경조경학과) ;
  • 김선례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Landscape Garden tradition of excellent examples of places that are focused on hydroponics management. South Korea and China, this thing was noticeable among them South Korea which emphasizes the natural contours of the natural streams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idea to use examples that feature will do. Gardens in China by constructing a flat terrain also naturally expect to find examples of conscious ideas depending on the water and the mountains are characterized. Thes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rough the Gardens of the tradition of separating the two countries to build their Garden by site Soswaewon and Zolzengwon appear in the target hand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director.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urvey, field survey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plantation, background history, the people who intend to study, to configure the ground water space, Jia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has been studied in hydroponics. As a result, Damyang-gun, Jeollanam-do, South Korea in the Garden of the Soswaewon(瀟灑園) organization with inner garden and outer garden of a small, but the scale of production to Yang San-Bo's 'eunilgwan' implement security based rock mooring takes the form of a linear channel and the water came down from riding pending to avoid artifacts gathered again took the form of streams flowing into that. Hutton was a rubble pile structure Jian. Building an Gwangpunggak, Jewoldang, as Daebongdae consist,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mooring was deployed by focusing. The other hand, is located at Suzhou, Jiangsu of China Zolzengwon(拙政園) flat terrain is located on. Largely divided eastern gardens, Central Gardens and the Gardens of the West was conducted by five thirds of the total area of Water accounted for. Pavilion the center of the pond, Seokgasan achieve a variety of landscapes and architectural features that are most of the Ming. The two countries, each region's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different, unique characteristics to each other in the implementation of a unique hydroponic Garden tube and ideological backgrounds, but especially the 'eunilgwan' and the terrain tha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so fulfilling Garden was conducted.

전통원림 중에서 경관이 우수한 곳은 수경관을 중심으로 하는 예가 많다. 한국과 중국의 경우 이러한 점은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도 한국은 자연의 형세를 중시하는 기본 사상에 따라서 자연계류를 이용하는 예가 그 특징이라 하겠다. 중국 또한 평탄한 지형에서 원림을 구성하여 자연을 찾는다는 사상에 따라 물과 산을 중시하는 예가 그 특징이다.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통하여 양국의 전통원림을 구분짓기 위하여 소쇄원과 졸정원을 대상지로 하여 이들 원림에서 나타나는 수공간의 연출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현장조사를 통하여 원림의 자연환경, 배경사상, 작정자의 인물연구, 수공간을 구성하는 지면, 호안, 건축 및 수경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결과로 한국의 소쇄원은 전남 담양군에 위치한 원림으로 내원과 외원으로 구성되며, 규모가 작으나 양산보의 은일관을 구현하기 위해 암반 계류를 중심으로 하여 선형적인 수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계류를 타고 내려온 물이 인위적인 방지에 모이고, 다시 계류로 흘러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호안 구조는 막돌 허튼쌓기로 이루어졌다. 건축물로는 광풍각과 제월당, 대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계류를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었다. 반면, 중국의 졸정원은 강소성 소주시에 위치하며, 평탄한 지형에 입지하고 있다. 크게 동부원림, 중부원림(졸정원) 및 서부원림으로 이루어졌으며 전체 면적의 5분의 3을 수공간이 차지한다. 연못을 중심으로 정자, 석가산 등이 다양한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명대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두 나라는 각각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특징이 서로 달라서 고유의 독특한 수경관을 원림 속에 구현하고 있지만, 사상적인 배경이 되는 은일관과 지형 조건에 따라 구분되어지는 원림을 이루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거열시(2005). 현외지음. 사천:사천인민출판사.
  2. 권주용(2008). 소쇄원의 역사와 인문활동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차경(1999). 조선시대 민간정원의 지당변천사로 본 형태디자인수법.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기상청(2012). 1981-2010한국기후도. 서울:기상청
  5. 문옥상(2007). 전통민가정원의 지당에 관한 연구:서석지를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화재청(2010). 담양 소쇄원 보수정비사업 도집. 대전:문화재청 미발간간행물.
  7. 성종상(2003). 조경설계에 있어서 '생태-문화'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고산 윤선도 원림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성총(2009). 강남원림의경. 상해:상해교통대학출판사.
  9. 양청연(2010). 因地制宜原則在蘇州拙政園 暢園和同里退思園建物設計 上之運用. 조양과기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균경(2006). 道家哲學與江南私家園林理水之關係. 조양과기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수미(2002). 조선 상류주택의 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왕탁(2003). 중국고대화원여문화. 무한:호북교육출판사.
  13. 요역봉, 장강(2002). 對于自然的理想与中國古代園林景觀設計. 문물세계 6:20-25.
  14. 유돈정저, 이정섭 역(1987). 소주고전원림. 서울:문화재관리국.
  15.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 서울: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설 환경계획연구소.
  16. 이관희, 윤주철(2007). 한국 소쇄원과 일본 대선원을 중심으로 본 경관 특성의 비교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5:1-8.
  17. 이상필(2004). 한국 전통 원지 조영에 관한 연구:옛 그림 및 발굴조사 된 원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서울:민음사.
  19. 정재훈(2000). 소쇄원. 서울:대원사.
  20. 조연호(1998). 한국의 전통적인 정원공간에서의 수경의 의미와 그 현대적 수용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천득염(1999). 한국의 명원 소쇄원. 서울:도서출판 발언.
  22. 풍종평(1988). 중국원림건축. 북경:청화대학출판사.
  23. 황견저, 한무희 역(2002). 고문진보. 서울:혜원출판사.
  24. http://bbs.guoxue.com/viewthread.php?tid=104758
  25. http://map.baidu.com.
  26. http://www.soswaew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