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eijo Imperial University's Landscaping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Proces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정원 특성과 시행과정 고찰

  • Kim, Hai-Gyoung (Institute of Korean Landscape Studies YiRakJae) ;
  • Yu, Joo-E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김해경 (우리경관연구실 이락재) ;
  • 유주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landscaping projects in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landscaping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draw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landscaping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Japanese colonial era progressed based on Hoegyebeop and it provides important materials including the floor plan of the garden, detailed statement and other document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Second, it was all Japanese enterprises that took part in landscaping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construction progressed under a private contract by lowest-price contract-awarding system after five enterprises' submitting estimates. Third, according to the floor plan for the landscaping, the garden had a shape of a quadrant and its boundaries were utilized as side gutters and connected to a drainage system. Fourth, though the floor plan doesn't clarify specific names of trees, detailed statement shows sorts of trees of the time. Trees of Chosun were plentifully introduced due to regional features and pines were the most expensive one when they were voluminou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conducts an empirical research on main materials and techniques of landscaping projects in Japanese colonial era.

본 연구는 경성제국대학 정원공사의 시행과정을 통한 일제강점기에 진행된 조경공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정원공사는 회계법에 의해서 진행되었으며, 정원 설계도면 내역서 착공 및 준공 서류 공사대금 지급서류 등이 작성되었다. 둘째, 경성제국대학 정원공사에 참여한 청부업체는 모두 일본 업체이며, 5개 업체가 견적서를 제출한 후 최저낙찰제에 의한 수의계약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경성제국대학 정원은 사분원과 선형이며, 화단 경계는 측구로 활용되어 배수시설과 연계되었다. 넷째, 조경 수목은 설계도에 상세하게 명시되지 않았지만, 내역서를 통해서 수종을 알 수 있다. 수목은 지역적 특성으로 조선 자생종이 다수 도입되었으며, 적송은 당시에도 규격이 클 경우 고가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경공사에 사용된 주재료와 기법을 실증적으로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일(1999). 일제식민총치기구 I: 1905-1919, 일제초기 식민통치의 전략과 내용.서울:백산서당.
  2. 강신용(1995). 한국근대도시공원사. 서울:도서출판 조경.
  3. 김의용(1992). 1880년-1945년 한국 관건축기구의 변천과정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해경, 유주은(2011). 용산 총독관저 정원의 조경사적 의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29(2):118-129.
  5. 김태중(1996).구한국시대 일본 토목청부업자의 활동에 관한 연구.경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연구논문집.14:107-119.
  6. 대한건설협회(1987). 건축사십년사. 서울:대한건설협회.
  7. 박승진(2003). 탑골공원의 문화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30(6):119-127.
  8. 이금도(2006). 조선총독부 발주 공사의 입찰방식과 일본청부업자의 수주독점 행태.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22(6):171-180.
  9. 이금도(2007a). 조선총독부 건축기구의 조직과 직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4):137-146.
  10. 이금도(2007b). 조선총독부 건축기구의 건축사업과 일본인 청부업자에 관한 연구.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영한(1994). 조선총독부내 건축조직의 성격에 관한 연구.서울산업대학교 논문집. 39:133-144.
  12. 이유직(2008). 독립공원의 조경사적 의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36(1): 103-115.
  13. 이하늘(2009). 20세기 초 한국에서 활동한 일본인 건축가의 조직과 계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3):59-66.
  14. 장세윤(1988). 일제의 경성제국대학의 설립과 운영. 한국독립운동사 연구. 6:347-408.
  15. 정선이(2002). 경성제국대학 연구. 서울:문음사.
  16. 정재정, 염인호, 장규식(1998). 서울 근현대 역사기행. 서울:혜안.
  17. 정지영, 조승래, 강영조(2006). 근대 용두산공원의 성립과 그 변용에 관 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24(1):69-77.
  18. 최기수(2002). 조경실무 30년의 리뷰 그리고 제언(한국의 조경 1972-2002). 한국조경학회.
  19. 삼천리. 1941년 3월호."경성제대의 전모".
  20. 국가기록원 조선총독부 기록물(http://contents.archives.go.kr/)
  21.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http://contents.archive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