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농산별업(農山別業)의 공간구성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of Gang-jin Nongsanbyeoleop

  • 서동일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Seo, Dong-Il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Resources, Sang 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 발행 : 2012.06.30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에 조성된 전남 강진의 농산별업(農山別業)의 원형 복원을 위한 기초 연구로 조성 당시의 원형에 대한 추정은 관련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다산 정약용의 "조석루기(朝夕樓記)"는 농산별업의 공간 구성과 이용 행태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문헌에 등장하는 공간 구성요소의 배치는 현장조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별업은 자연 지형을 활용한 공간요소를 경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농산별업 내 공간적 특징으로 윤서유의 부친인 윤광택의 본제에서 1.9km 떨어진 곳에 선친들의 묘소와 제각을 포함한 제례공간, 그리고 살림공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석루기를 통한 공간의 추정이 가능하였다. 조석루기에는 건축적 요소로 조석루 영모재 한옥관 척연정 상암, 식물 요소로 운당 국단 녹운오, 수경요소로 수경간 금고지 녹음정 의장해, 자연지형 요소로 표은곡 앵자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멸실되고 현재에는 영모재, 금고지, 국단, 운당만이 과거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농산별업의 변화된 공간과 그 원인에 대한 내용이다. 농산별업의 주변 공간은 1960년대의 경지 정리에 의해서 평탄화되었으며, 이는 농산별업이 주변 경관을 포함하는 면(面)적인 요소보다는 점(点)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지형훼손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농산별업의 실측측량과 수작업된 수치지도의 디지털화는 추후 정원복원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이때 활용된 거리변환기법으로 하여 농산별업 정원복원에 구체화를 기하고자 하였으며, 디지털화 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3D모델 수립으로 다각적 연구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이처럼 농산별업은 관념적인 효 사상을 바탕으로 선친의 묘소가 포함된 별서로 기존 선행 연구된 별서원림의 구성요소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별서원림의 중요도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멸실된 공간구성요소와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건축적 요소는 본 연구의 한계로 작용하였다. 향후 건축적 요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원형에 대한 명확한 검증이 진행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is a basic study for recovering original form of Nongsanbyeoleop(農山別業) in Gangjin, Jeonnam, create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period and the estimation of originla form at the time of creation was conducted by analyzing related literature and inspecting the actual site. "Joseokruki(朝夕樓記)" of Dasan Jung, Yak Yong could estimate spatial structure and using form of Nongsanbyeoleop and the arrangement of spatial structure in literature could be confirm by on-the-site insp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Nongsanbyeoleop managed spatial factors applying natural topography. Fo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Nongsanbyeoleop, the location of ancestral ritual space including deceased father's tomb and tomb house far from the main levee of Yun, Kwang Taek, a father of Yun, Seo Yu by 1.9km and housekeeping could be confirmed. The second, spatial estimation by "Joseokruki" could be possible. "Joseokruki" describes Joseokru.Youngmojae.Hanokkwan.Cheokyunjung.Sangam as construction factors, Wundang.Kookdan.Nokwunoh. as plant factors, Sookyunggan.Keumkoji.Nokeumjung.Uijanghae as hydroponic factors and Pyoeunkok.Aengjakang as natural topography factors. However, most of them were disappeared and at present, only Youngmojae, Keumgoji, Kukdan and Wundang show the past trace. The third is for the changed space of Nongsanbyeoleop and its reason. The surrounding space of Nongsanbyeoleop was planated by land arrangement in 1960s and it played a role of topographical damage because it's recognized as the plane factor including Nongsanbyeoleop's surrounding landscape rather than dotted factor. The forth, the actual measurement of Nongsanbyeoleop and digitalization of manual map of numerical value are judged to be sufficient to apply as the basic material for recovering garden in the future. Because of the diatahce changing method applied at that time, the garden recovery of Nongsanbyeoleop intended to be concreted and 3D model established by digitalized basic materials is considered to apply for multilateral studying. Thus, Nongsanbyeoleop which is byeolseo including the tomb of deceased father based on the conceptual hyo thought shows clear differences from the organized factors of Byolseowonrim of precedent studies and the importance of Byolseowonrim is sufficient. But, the constructional factors which cannot know disappeared spatial factors and accurate location becam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future, clear verification of original form must be progressed by excavation which can confirm the location of construction fac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다산시문집(1994). 민족문화추진회.
  2. 신상섭, 김현욱, 강현민(2012). 별업 하거원 원림에 투영된 조영사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1):46-56.
  3. 유성환(2001). 등고선으로부터 3차원 지형 복원과 응용.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윤영활(1999). 한국 전통정원 공간의 복원. 조형예술논문집. 1(1):55-63.
  5. 이동규, 임원규, 한경숙(2000). 등고선 지도의 특징점을 이용한 효율적인 3차원 지형 복원. 한국정보과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pp. 653-655.
  6. 이영관 (2007). 소쇄원(瀟灑園)과 부용동원림(芙蓉洞苑林)의 배후사상과 공간특성 비교 연구. 한국사상문학학회지. 39:329-354.
  7.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2-43.
  8. 이진선, 정성종(1995). 등고선 지도로부터 3차원 지형의 복원을 위한 래스터기반 알고니즘. 정보과학회논문지. 22(8):1137-1146.
  9. 이현우, 김재식, 신상섭, 노재현(2011). 매천별업 퇴수정원림의 의미경 관론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22-32.
  10. 정동오(1982). 강진지방에 있어서의 조선시대의 원림. 호남문화연구원. 12:200-206.
  11. 차경선(2005). 서울시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한국고전번역원(1982). 여유당전서 다산시문집. 13권.
  13. Borgefors, G. (1986). Distence transformations in digitalimages. Computer Vision, Gaphics, and Image Proceeding. Vol.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