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gdoseo(龍圖墅) and Guimunwon(龜文園) which Applied a Sangsu(象數) Principle on Garden Composition

상수(象數) 원리를 정원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Yongdoseo and Guimunwon are described in "Bokgeo(卜居, fixabode)" of "Sanlimkyengje(山林經濟)" written by Manseon Hong. This record is a unique garden conceptual idea applying the principles of Hetu(河圖) and Luoshu(洛書), fanciful gardens which have not been actually constructed. Here, two garden types were concretely described respectively, however the underlying meaning therein cannot be apprehended without exact understanding about Sangsu stud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meaning contained in Garden illustration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landscape therein through considering this tex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writer and the compiler who are the background of this writing and the outline of Sangsu studies were investigated. Also, the principles of Saengsu(生數), Seongsu(成數), Yin Yang(陰陽), Four Bodies(四象), Palgwedo(八卦圖), etc. which are in Hetu and Luoshu were consider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tu Luoshu are conceptual definitions which wholly abstracted the basic propositions of Sangsu philosophy such as the universe change principle, etc., while Yongdoseo and Guimunwon can be said to be operational definitions which apply those as garden composition principle, enabling to experience the meaning contained therein concretely and explain it in a replicable way. This attempt is a unique example, unprecedented in Chinaas well. Second, as a livingspace, garden was selected as a means to concretize operational definitions about the meaning of Hetu Luoshu, and as the property to reproduce the bearings concept, the location and the number, etc. of Hetu Luoshu, Taegukjeong(太極亭), Shipjagak(十字閣), Dondae(墩臺), well, pond as well as various kinds of trees were used. Third, the main motif of Yongdoseo and Guimunwon is the relation between Apriority(先天) and Posterior(後天), and the relation between Constitution(體) and Use(用) of Hetu and Luoshu respectively. That is, Yongdoseo planted evergreen trees such as Shipjangcheong(十長靑) in order to symbolize the universe creation principle which Hetu stands for, i.e. silent, harmonious, orderly and win-win image. In Guimunwon, flowering trees(花木) and fruit trees(果木) were planted freely to express the change of Posterior which Luoshu stands for, thatis, dynamic, disharmonious, disorderly, incompatible(相剋) and changing image. The effects intended to be attained through such planting were, 'freshness and cheerfulness(淸爽)' of Yongdoseo and 'splendidness' of Guimunwon respectively. Sangsu studies based on Hetu and Luoshu is a unique thinking system to the Orient which came from the accumulated wisdom of several scholars from various schools through a long period since ancient times. Therefore, the concept and the theory thereof are profound and huge, and its viewpoints of interpretation are diverse. It is a limit of this study that more in-depth and various consideration was not performed. As a further research project, more empirical study of Orientalism such as Sangsu studies, etc. inherent in Traditional Garden is necessary.

용도서와 귀문원은 홍만선이 저술한 "산림경제" "복거(卜居)" 편에 실려 있다. 이 글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원리를 적용한 독특한 정원 구상안으로, 실제 조영된 바 없는 상상 속의 정원이다. 여기에는 두 정원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상수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여기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록을 고찰함으로써 정원도해에 담긴 의미와 조경사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의 배경이 되는 저작 및 편찬자, 상수학의 개요를 살펴보았다. 또 하도와 낙서에 담긴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음양, 사상, 팔괘도 등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와 낙서는 우주변화의 원리 등 상수철학의 기본 명제들을 포괄적으로 추상화한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라 할 수 있는데, 용도서와 귀문원은 이를 정원구성 원리로 적용하여 거기에 담긴 의미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반복 가능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에서도 전례가 없는 독특한 사례이다. 둘째, 하도와 낙서에 내재된 의미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원이라는 생활공간이 선정되었고, 하도와 낙서의 방위개념과 위치와 수 등을 재현하는 소품으로 태극정과 십자각, 돈대, 우물, 연못 등과 함께 각종 수목이 사용되었다. 셋째, 용도서와 귀문원은 각기 하도와 낙서가 표상하고 있는 선천과 후천, 체와 용의 관계를 주 모티브로 하고있다. 즉, 용도서는 하도가 표방하는 우주생성의 원리, 정적이며 조화, 질서, 상생의 모습을 상징하기 위하여 '십장청'이라는 상록수만을 식재하도록 구상하였다. 귀문원에는 낙서가 표방하는 후천의 변화 즉, 동적이며 부조화 무질서, 상극,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화목과 과목을 자유롭게 식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식재효과를 통해 구현하고자한 두 정원의 시각적 이미지(image)의 차별성은 용도서에는 '청상함', 귀문원은 '화려함'으로 함축된다. 하도와 낙서가 바탕이 된 상수학은 고대 이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학파와 여러 학자의 지혜가 축적된 동양의 독특한 사고 체계이다. 따라서 그 개념과 이론이 심오하고 방대하며 해석의 관점도 다양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양철학의 제반 개념들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전통정원에 내재된 상수학 등 동양사상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기, 최종현, 임동일(1995). 전통공간사상에 관한 연구(1): 역과 음양.오행사상에 근거한 전통적 공간개념의 형성. 국토계획. 30(6): 7-20.
  2. 구미래(1995).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3. 김동욱(1985). 한국건축에 대한 1980년대 전반기의 연구현황. 월간 건축과 환경. 1985년 9월호: 36-38.
  4. 김명주, 박현수(2006). 소쇄원 공간의 재해석을 통한 도심지 공원 계획안: 음양사상을 이용한 쌈지공원.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1): 447-452.
  5. 김인환 역해(2006). 주역.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6. 김학수(2005).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서울: 도서출판 삼우반.
  7. 농촌진흥청(2003). 고농서국역총서 4, 증보산림경제 I. 柳重臨 增補山林經濟 .
  8. 민족문화추진회(2007). 국역 산림경제 1. 洪萬選. 山林經濟.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9. 박상진(2004).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 서울: 김영사.
  10. 신승훈(2007)산림경제 해제(민족문화추진회, "국역 산림경제").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pp. 3-27.
  11. 신원봉 역(2005). 역경잡설. 南懷瑾, 易經雜說. 서울: 문예출판사.
  12. 신원봉 역(2006). 주역강의. 南懷瑾, 易經繫傳別講, 서울: 문예출판사.
  13. 안대회 편역(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徐有榘 林園經濟. 파주: 돌베개.
  14. 유봉학(1999).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서울: 신구문화사.
  15. 유준영(1990). 한국전통건축의 기호학적 해석: 화음동정사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미술사학. 제2권: 25-57.
  16. 유준영(2010). 김수증의 은둔사상(유준영.이종호.윤진영, "권력과 은둔"). 서울: 북코리아. pp. 34-187.
  17. 윤창열(2010). 하도낙서와 삼역괘도. 서울: 상생출판.
  18. 이광호 역주(2011)근사록집해 I. 朱熹.呂祖謙편저, 葉菜집해. 近思錄集解. 서울: 아카넷.
  19. 이종묵(2009). 성리학적 사유를 구현한 조선 선비의 집. 남명학연구원 남명학. 제14권: 303-332.
  20. 임병학(2007). 선진유학에 나타난 하도낙서.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제11집: 253-281.
  21. 전용원(2005). 주자 역학의 상수학적 특성 연구: 하도.낙서.태극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제35호: 455-481.
  22. 전창선, 어윤형(2011). 음양오행으로 가는 길. 서울: 와이겔리.
  23. 전창선, 어윤형(2012). 음양이 뭐지?서울: 와이겔리.
  24. 정옥자(2003).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서울: 현암사.
  25. 한국사상사연구회(2011).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26. 한동석(2006). 우주 변화의 원리. 서울: 대원출판.
  27. 홍형순, 이원호(2006a). 19세기 문인 항해 홍길주의숙수념에 관한 조경학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67-78.
  28. 홍형순, 이원호(2006b). 허균의 저작을 통해 본 상상적 공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111-120.
  29. 홍형순(2012). 산림경제 복거편 중 용도서와 귀문원에 내재된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 55-60.
  30. http://100.naver.com/100.nhn?docid=125759
  31.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b_A1655_1_0004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