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주(虛舟) 산수유첩(山水遺帖)에 표현된 반변천(半邊川) 십이승경(十二勝景)의 어제와 오늘

Yesterday and Today of Twelve Excellent Sceneries at Banbyeoncheon Expressed in Heojoo's Sansuyucheop

  •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Kim, Jeong-M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발행 : 2012.03.31

초록

본 연구의 대상인 허주부군산수유첩(虛舟府君山水遺帖)은 고서벽(古書癖), 탄금벽(彈琴癖), 화훼벽(花卉癖), 서화벽(書畵癖) 그리고 주유벽(舟遊癖) 등 오벽(五癖)을 가진 인물인 고성 이씨 11대 종손 허주(虛舟) 이종악(李宗岳: 1726-1773)이 1763년 4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18명의 친인척들과 임청각에서 시작해 양정(羊汀), 칠탄(七灘), 사빈서원(泗濱書院), 선창(船倉), 낙연(落淵), 선찰(仙刹)과 선유정(仙遊亭), 몽선각(夢仙閣), 백운정(白雲亭)과 내앞마을(川前里), 이호(伊湖), 선어대(鮮魚帶)를 거쳐 귀착지인 반구정(伴鷗亭)에 이르기까지 '안동팔경' 또는 '임하구곡'으로 불리우는 반변천(半邊川) 주변의 절경지를 선유(船遊)하며 남긴 십이폭의 화첩이다. 산수유첩에 표현된 장소 및 경물 그리고 식물요소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의 경관 및 풍물에 대한 물리 생태적, 시각 미학적 변화에 주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수유첩의 표현된 맑은 강물과 하얀 백사장 그리고 기암절벽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시회(詩會), 거문고 소리에 귀 기울이는 선상(船上) 풍류는 조선시대 상류층의 선유(船遊) 놀이문화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아쉽게도 임하댐과 안동댐 건설로 초래된 심대한 시각적 변화와 생태적 변동으로 인해 양정과범(羊汀過帆), 칠탄후선(七灘候船), 사수범주(泗水泛舟), 선창계람(船倉繫纜), 낙연모색(落淵莫色), 망천귀도(輞川歸棹), 이호정도(伊湖停棹)의 경관상은 본래의 정취를 전혀 느낄 수 없으며, 단지 화폭에 묘사된 그림을 통해 당시의 풍광과 정취를 가늠할 수 있다. 허주부군산수유첩의 제1도(동호해람(東湖解纜))와 제11도(선어반조(鮮魚返照))에는 회화나무나 시무나무 또는 느릅나무 등 낙엽활엽교목으로 판단되는 수목들이 표현되었고, 제9도(운정풍범(雲亭風帆))의 '개호(開湖)'라 불리는 솔숲을 운천공이 1617년에 소나무를 식재해 형성한 숲이다. 그 외 승경도에서는 자연지형과 조화를 이룬 소나무 등의 상록침엽수와 정자나 건물 주변에 식재된 낙엽교목류가 표현되고 있다. 허주부군산수유첩과 신암의 동유십소기(東遊十小記)의 비교 고찰한 결과, 임하구곡의 일곡의 백운정으로부터, 이곡 임천과 임천서원, 사곡 사수의 사빈서원, 오곡 송석, 육곡 선창의 수석, 칠곡 낙연현류, 팔곡 선찰사와 선유정, 구곡 표옹 유허로 재차 확인되었으며, 모호했던 삼곡은 마천과 칠탄으로 추정된다. 허주부군산수유첩은 조선 후기의 낙동강 최대 지류인 반변천 연안의 경관이 절묘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댐 건설로 현재는 찾아보기 힘든 선인들의 선유 풍류와 경관요소들을 음미할 수 있는 도형사료로써의 가치를 확인한 것이 본 연구의 작은 성과로 판단된다.

Sansuyucheop by Heojoobugun(虛舟府君)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십이-width picture album by the eldest grandson of 11 generations for Goseong Lee family, Lee Jong Ak(李宗岳: 1726-1773), a figure having five habits(五癖) for ancient documents(古書癖), playing the gayageum(彈琴癖), flowering plant(花卉癖),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書畵癖) and boating(舟遊癖) etc., who boated with 18 relatives, and those by marriage from old home, home of mother's side, wife's home, and his home for 5 days Apr. 4 through 8, 1763, starting from Imcheonggak, through Yangjeong(羊汀), Chiltan(七灘), Sabin Auditorium(泗濱書院), Seonchang(船倉), Nakyeon(落淵), Seonchal(仙刹), Seonyujeong(仙遊亭), Mongseongak(夢仙閣), Baekwoonjeong(白雲亭) and Naeap Village(川前里), Iho(伊湖), Seoeodae(鮮魚帶) to the returning point, Bangujeong(伴鷗亭), cruised magnificent views around Banbyeoncheon called 'Andong 8 Gyeong' or 'Imhagugok', and whenever the boat anchored, appreciated the scenery at each point, and enjoyed and loved arts playing the geomungo. This study reached following findings through grasping physical, ecological, visual and aesthetic changes about the places, sceneries, plant elements and past and current scenery of the width pictures expressed at this Sansuyucheop. The refinement on the boat seeing the clear river water, white sand beach, fantastically-shaped cliffs expressed at this Sansuyucheop, exchanging poems and calligraphies, and enjoying the geomungo is a good example displaying the play culture of high-class in Joseon Dynasty. Also construction of Imha Dam and Andong Dam has caused serious visual and ecological changes, making us not enable to feel the original mood of the background spots such as Yangjeonggwabeom(羊汀過帆), Chiltanhuseon(七灘候船), Sasubeomjoo(泗水泛舟), Seonchanggyeram(船倉繫纜), Nakyeonmosaek(落淵莫色), Mangcheonguido(輞川歸棹), Ihojeongdo(伊湖停棹), but only discern then landscape or sentiment through the landscape described at the canvas. The 1st picture(Donghohaeram, 東湖解纜), and the 11th picture(Seoeobanjo, 鮮魚返照) of Heojoobugun's Sansuyucheop expressed trees thought to be fallen, brad-leaf tall trees, and the 9th picture(Unjeongpungbeom, 雲亭風帆) formed a pine forest called 'Gaeho(開湖)' by Uncheongong planting 1,000 pine trees with the village people in 1617. In addition, Seunggyeongdo expressed ever-green needle leaf trees at the natural topography, and fallen-leaf tall trees around the pavilion and building.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Heojoobugun's Sansuyucheop and Shinam's Dongyusipsogi(東遊十小記) showed that the location of Samgok is assumed to be Macheon and Chiltan, so Imhagugok is assumed to start from Baekunjeong of Ilgok, Igok from Imcheon and Imcheon auditorium, Samgok from Mangcheon and Chiltan, Sagok from Sabin Auditorium of Sasoo, Ogok from Songseok, Yukgok from Sooseok of Seonchang, Chilgok from Nakyeonhyeonryu, Palgok from Seonchalsa and Seonyoojeong, and Gugok from Pyong Yuheo.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clarify that Heojoobugun's Sansuyucheop is judged to be valuable in exquisitively expressing the coast of Banbyeon River, the biggest branch stream in the Nakdong River at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as a vital diagrammatical historical data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ly rarely-seen ancestors' life traces and landscape factors with present on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파주: 돌베개. pp. 195-203.
  2. 김덕현(2003). 儒敎的 可居地 '내앞' 景觀 讀解. 문화역사지리. 15(1): 47-76.
  3. 김정식, 김정문, 노재현, 오현경(2010). 허주 산수유첩에 표현된 반변천 십이승경의 어제와 오늘, 한국전통조경학회 공동총회 및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115-118
  4. 金鶴洙(2000). 安東 선비 李宗岳의 山水畵帖에 관한 문헌 검토.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 3: 229-260.
  5. 김학수(2003). 허주 이종악의 산수유첩. 서울: 이회문화사.
  6. 김학수(2004). 샘이 깊은 물: 이종악 산수화첩. 경향신문. 2004. 7. 12.
  7. 손명원(1985). 반변천의 하안단구에 관한 연구. 地理學硏究. 10(1): 749-767.
  8. 송언근(1995). 半邊川 河岸段丘의 地形發達. 대구교육대학교 論文集. 30: 287-309.
  9. 안대회(2007). 선비답게 산다는 것. 서울: 도서출판 푸른역사. p. 136.
  10. 오지현, 김진균(2000). 안동 임청각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계획계 논문집. 20(2): 601-604.
  11. 유증선(1989). 安東의 裨補風水信仰傳說과 그 背景. 安東大學 安東文化硏究所 安東文化叢書. 11: 151-185.
  12. 李成美(2000). 虛舟府君山水遺帖: 傳 李宗岳(1726-1773)의 眞景山水畵帖 簡介.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 215-228.
  13. 이완규(2001). 窩穴, 안동 풍수기행: 와혈의 땅과 인물. 동양문화산책. 예문서원. p. 253.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2003). 명가의 고문서. pp. 128-143.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3). 虛舟 李宗岳의 山水遺帖. 韓國精神文化硏究院 書畵名品特選. 1. 서울: 이회문화사.
  16. 한양명(2008) 안동지역 양반 뱃놀이(船遊)의 사례와 그 성격. 실천민속학연구. 112: 197-236.
  17. http://blog.daum.net/bbb114/17858807
  18. http://blog.daum.net/keh559/16887839
  19. http://blog.daum.net/kil0930/238
  20. http://blog.daum.net/likedream12/18295466
  21. http://blog.daum.net/shgh1225/8761018
  22. http://blog.daum.net/shgh1225/8761084
  23. http://cafe.daum.net/andongb/MMxh/611?docid=18pnN|MMxh|611|20100531102214&q=%B9%E9%BF%EE%C1%A4
  24. http://idropark.egloos.com/7130445.
  25.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6,02520000,37&queryText
  26. http://www.meari174.net/meari/zboard.php?id=board2&no=4267